[평생교육사][평생교육경영론] 평생교육기관의 중요성과 개선방안 제시 (95점 자료) - 교수피드백 포함
- 최초 등록일
- 2019.12.06
- 최종 저작일
- 2018.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평생교육기관은 초중고대학 및 문화시설, 기업체, 청소년 수련 시설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중요성과 개선방안에 대해 서술해 주세요
목차
Ⅰ. 서론
1. 평생교육기관의 유형
Ⅱ. 본론
1. 여성인력개발센터
2. 중요성
3. 개선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서 개인이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규교육과정 외에 능동적이고 생애 전반에 걸친 배움이 요구된다. 정부는 이러한 ‘평생학습’의 중요성으로 ‘성인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국정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국내 평생학습기관은 4,169개로 크게 비형식 평생교육시설, 초·중등교육형태 평생교육기관, 고등교육형태 평생교육기관의 유형으로 존재한다. 다음 <표 1>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자료집에서 평생교육시설 및 기관을 분류한 것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이 중 비형식 평생교육시설로 여성을 위한 시설에 대해 본론에서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저출산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는데 출산과 육아로 인한 여성의 경력단절이 그 이유로 손꼽히고 있다. 경력단절을 겪고 있거나 예방이 필요한 여성을 위한 평생교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시민단체가 운영하는 평생교육기관인 여성인력개발센터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표 1>
비형식 평생교육시설
부설형
- 초·중등 및 대학부설
- 사업장부설: 산업체, 백화점, 문화센터 등 부대시설로 설립·운영
- 시민단체부설: 회원 300인 이상 단체로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운영
- 언론기관부설
독립형
- 원격형태
- 지식·인력개발형태: 기업 또는 고용노동부와 연계하여 운영
전담형
- 시·도 평생교육진흥원: 시·도별 평생교육기회 및 정보의 제공
- 평생학습관: 지역주민 대상, 평생교육 연구 및 정보제공 기능
복합형
- 학원: 불특정다수 학습자에게 30일 이상 교습과정에 따라 제공 되는 시설
초·중등교육형태 평생교육기관
- 공민학교: 초등교육 받지 못한 학령 초과한 자의 3년간의 초등교육기관
- 고등공민학교: 1~3년간의 사회직업 교육기관
- 고등기술학교: 중학교 이상 학력인정자에 대한 1~3년간의 전문기술 교육기관
- 각종학교: 수업연한, 입학자격, 학점인정 등을 달리하는 교육기관
- 산업체부설고등학교: 산업체가 설치·경영하는 고등학교
- 근로청소년 특별학급: 산업체에 근무하는 청소년의 교육을 위한 야간특별학급
참고 자료
2018 평생교육통계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018.12.
여성취업자의 경력단절 경험유무, e-나라지표, 2018.12.17.
여성인력개발센터연합 홈페이지, http://www.vocation.or.kr/
안산여성인력개발센터 홈페이지, http://www.ansanwomen.or.kr/
안산여성인력개발센터 국비훈련프로그램,
http://www.ansanwomen.or.kr/sub.asp?secmode=VIEW&maincode=487&sub_sequence=488&sub_sub_sequence=&cate1=488&cate2=A13&cate3=A1&idx=455
“4차산업 필수역량 코딩, 제대로 배워야”, 내일신문, 2019.10.17.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28744
“정부 ‘직접 일자리사업’, 민간취업률은 고작 17%...고용부도 ‘일자리 사업’ 중복·부실 인정”, 조선일보, 2019.05.07.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07/2019050701927.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
신하영, 여성일자리 지원기관 사업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017 정책연구-14, 2017, 94쪽
신하영, 여성일자리 지원기관 사업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017 정책연구-14, 2017, 89쪽
신하영, 여성일자리 지원기관 사업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017 정책연구-14, 2017, 8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