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학개론 총정리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19.12.05
- 최종 저작일
- 2019.12
- 2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0원

목차
1. 특수아동과 특수교육
2. 특수교육의 동향과 이슈
3. 다문화 및 가족지원
5. 시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 학생
6. 청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 학생
7. 지적장애 및 발달지체를 지닌 특수교육대상 학생
8. 지체장애 및 건강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 학생
9. 정서행동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 학생
10.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 학생
11. 의사소통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 학생
12. 학습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 학생
13.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 학생
본문내용
1. 개인의 특수성
개인의 강점과 탄력성
·과거 : 결함을 치료하고 보충
└ 문제점 : 가면효과, 보자기 효과 → 장애의 약점만 부각
·최근 : 개인의 능력과 강점을 중시 – 탄력성 or 상황적응력 연구
장애와 개인차
·질병 → 손상 → 기능장애(disability) – 사회환경적 제약
↘ 능력제한(handicap) - 참여제약
·심리학적으로나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장애란 차이를 가진 것으로 봄.
└사람은 개인차를 지니고 있음.
└개인차는 개인내차와 개인간차로 구분.
·문화적측면에서는 ‘같으면서 다른’, ‘다르면서 같은’. 존엄성을 지닌 하나의 인격체 강조.
·장애인복지법에 의하면 장애를 신체적 장애과 정신적 장애로 구분.
특수아동, 특수교육대상장 그리고 특수교육
·특별한 요구를 지닌 아동 : 학습적 요구나 특성이 대부분의 아동들과는 현저히 달라서 그들의 잠재능력을 충분히 계발하기 위해 교육과정 및 교수의 수정이나 특별교육을 필요로 하는 아동을 말하며, 장애나 영재 등을 가진 아동들
·특수교육대상자 :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
·특수교육 :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
·Heward는 특수교육을 중재로서의 특수교육과 교수로서의 특수교육으로 구분
중재로서의 특수교육
예방적 중재 : 잠재적 또는 사소한 문제로 인하여 기능적 장애가 되는 것을 방지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