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적산소요구량 COD 이론 및 실험분석 측정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19.11.29
- 최종 저작일
- 2017.09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화학적산소요구량 COD 이론 및 실험분석 측정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Title
2. Objective
3. Theory
4. Procedure
5. Observation and Result
6. Discussion
7. Reference
본문내용
1. Title
-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
2. Objective
- 크롬법을 이용하여 COD(Chemical Oxygen Demand)를 측정하고, 각 시료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3. Theory
1) 산소, DO, BOD, COD
(1) 산소
산소()는 대기나 수중에 존재하는 화학적으로 활발한 물질로서 대기 중에는 약 21%(V/V)의 산소를 차지하고 있다. 생명체가 살아감에 있어서 산소는 불가분의 관계로서 지구 생태계의 생물들은 호흡을 통해 산소를 얻고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다. 대기 중에는 약 21%(V/V)의 산소는 생물이 살기에 적합한 구성 비율로써 이보다 낮을 경우에는 산소결핍으로 인해 생물체의 세포가 죽거나 그 기능을 상실하여 생물이 살아가기 어렵게 만들며 연소 시 불완전 연소하여 CO등 유독한 물질을 내 놓는다. 반면 산소비율이 높게 존재할 경우 생물의 호흡에 악영향을 끼치지는 않으나 연소의 발화가능성이 커져 화재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2) DO
DO(dissolved Oxygen, 용존산소량)는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량을 가리키며 단위는 10-6 = ppm(parts per million)이다. 대기 중의 약 21%(V/V)의 산소량은 일부 물에 녹게 되는데 질소보다 용해율이 크다. 산소가 물에 녹아 들어가게 되면, 수중생태계에 있어서 녹조류, 어패류, 호기성미생물 등이 호흡을 할 수 있는 조건이 되므로 수중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중 략>
적정실험에서 종말점을 찾는데 각 조별로 약간의 오차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최대 0.5ml로 가장 큰 차이가 난 조는 4조였으나, 그렇게 큰 오차가 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시료를 제조할 때 정확한 값을 못 넣은것과 뷰렛을 사용하여 적정할 때 세밀하게 못 다루어 조금씩 차이를 준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는 우리 3조가 10.1ml로 4개조 중 정확하게 측정을 하였으며, 4조가 10.5ml로 차이가 0.5ml가 나면 4개의 조 중에서 가장 많은 오차를 주었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인& 두산 백과사전
Water Chemistry
실험 자료
Standard Method
고등학교 참고서
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