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종교와 그 전래
- 최초 등록일
- 2019.11.28
- 최종 저작일
- 2019.1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대한민국의 종교와 그 전래
목차
Ⅰ.대한민국의 종교
1.특징
2.종교별 신자 수
Ⅱ.대한민국 종교의 종류
1.유교
2.불교
3.기독교
1)개신교
2)가톨릭
4.무교(무속신앙)
5.원불교
6.천도교
7.대종교
Ⅲ.참고문헌
본문내용
Ⅰ.대한민국의 종교
1.특징
대한민국은 헌법에 의해서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는 자유 종교 국가이다. 국교가 정해져 있거나 종교 자유가 제한된 나라들과 달리, 한국은 오히려 종교를 생각하지 않는 것이 기본 마인드이며, 종교가 있는 것이 그 사람의 특징 중 하나로 여겨진다. 따라서 무신론을 포함한 '무종교'가 많은 편이고, 보편적이며 절반을 넘는다. 또한 대부분의 종교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차별이 없다. 이로 인해 작은 다툼이 아닌, 종교와 관련된 집단적인 시위, 폭동, 테러 같은 갈등은 타 국가들에 비해서 현저히 적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는 꽤나 많은 종교들이 자리 잡고 있는데, 개신교와 불교는 대한민국에 들어오며 다른 국가에는 없는 한국적인 느낌의 종교 스타일로 자리를 잡았지만, 천주교나 이슬람교의 경우 여전히 외국 느낌이 강하게 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종교는 개신교, 불교, 천주교가 있다. 이 외에도 토착 종교를 비롯한 다양한 종교들이 있지만 교세가 앞의 종교들에 비해 크지 않다.
2.종교별 신자 수
통계청에서 실시한 “2015 인구 주택 총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종교가 있는 국민은 43.9%, 없는 국민은 56.1%로 종교가 없는 국민의 비중이 더 크다.
이 중 개신교를 믿는다는 사람이 19.7%(967만명)이고, 불교를 믿는다는 사람은 15.5%(761만명)이며, 천주교는 7.9%(389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가 있다고 답한 국민의 98.3%가 이 주요 세 종교를 가지고 있다고 답했으며 나머지 소수는 원불교·유교·천도교 등이 뒤를 이었다.
Ⅱ.대한민국 종교의 종류
1.유교
유교는 중국을 발상지로 하여 전해진 것인데 이 사상은 한자의 전래와 더불어 한국에 들어왔다고 전해진다. 한국은 중국과 지리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비교적 이르게 유교사상이 들어오게 되었고, 이는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참고 자료
강돈구,『한국 종교의 민족의식』,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8
조흥윤,『한국종교문화론』, 동문선, 2002
조성택,『근대불교학과 한국 근대불교』, 민족문화연구, 2006
윤이흠,『한국인의 종교』, 문덕사, 1991
안계현,『한국불교사연구』, 동화출판공사, 1982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20/*************.html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http://www.bzeronews.com/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240968
http://www.doopedia.co.kr
http://religion.sog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