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서비스 수요와 공급
- 최초 등록일
- 2019.11.26
- 최종 저작일
- 2019.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문화서비스 수요와 공급
1-1. 문화서비스 수요-공급 분석
1) 공공 문화서비스 수요여건
2) 공공 문화서비스 수요ㆍ공급 실태
3) 문화기반시설 수요 현황
본문내용
1-1. 문화서비스 수요-공급 분석
1) 공공 문화서비스 수요여건
(1) 문화여가관련 수요여건의 변화
문화서비스 공급이 큰 틀에서 변화가 없는 가운데, 그간 문화여가 수요여건은 급속도로 바뀌고 있다. 이에 문화여가 수요와 관련된 최근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서비스 공급의 개선 방향을 잡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공공문화서비스 수요의 패러다임이 일방적으로 수혜 받는 패러다임에서 수요자가 선택하는 패러다임으로 바뀌고 있으므로 다양한 선택지 가운데 문화서비스의 위상을 알아보는 것도 필요하다.
가. 시간구조
가) 노동시간의 감소
2018년 7월 1일 부로 기존 최장 68시간의 근로시간에서 16시간이 줄어든 주 52시간 근무 상한제가 시행되었다.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라 300인 이상 사업장, 공공기관을 2018년 7월 1일부로 50~300인 미만은 1년 6개월 이후(2020년 1월), 5~50인 미만 사업장은 2021년 7월부터 순차적으로 근무체제를 바꾸게 된다. 다만 처벌과 관련해서는 경영계의 요구로 6월 유예된 상태다. 시간구조의 변화가 실제 국민들의 삶을 변화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 지난 9월 조사된 조사 자료(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에 의하면, 노동시간 단축 대상 기업 직원들은 노동시간이 줄었다는 응답을 보였다.
나) 여가시간 증가, 문화여가에 대한 관심 증가
자연스럽게 노동시간의 감소가 여가시간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최근 ‘워라밸’이 삶의 중요한 화두가 된 가운데, 지역문화진흥원 9월 조사 자료에서 여가시간 증가를 체감하는 사람이 50.1%였고, 문화여가의 관심도 증가를 보인 사람은 40.9%로 나타났다.
나. 인구ㆍ가구 구조
가) 인구구조의 변화
성별, 연령, 거주 지역, 소득, 장애 여부, 시간 등은 문화서비스 참여에 영향을 주는 가장 기본적인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소위 개인적 인구통계학적 요인으로 묶이는 요인들은 개인적이지만 구조적으로 문화서비스 참여에 영향을 주게 된다. 예를 들면, 여가시간은 모든 수요의 토대가 되어 개인적으로 시간의 많고 적음은 문화서비스 참여 확률과 연결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