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의 통일 - 민족주의와 자유정신에 따른 통일과 한계를 중심으로 -
- 최초 등록일
- 2019.11.15
- 최종 저작일
- 2019.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이탈리아의 통일 - 민족주의와 자유정신에 따른 통일과 한계를 중심으로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통일의 배경
2. 리소르지멘토
3. 이탈리아 통일과정과 4대 영웅
4. 통일과 관련 된 문화, 예술 운동
5. 이탈리아 통일의 한계점
Ⅲ.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대 제국 로마가 시작된 이탈리아 반도는 이후 수 십 세기 동안 도시국가로 분열되어 살아왔다. 반도 내의 민족들 또한 통합의 의지는 전혀 보이지 않았고, 그들의 부를 강화시키고 상대국을 적대시 하는 데만 집중했다. 또한 대외적으로 프랑스, 도이칠란트, 오스트리아의 권력 싸움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그랬던 이탈리아반도도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을 통해 불기 시작한 자유의 바람을 맞이하게 된다. 난세는 영웅을 만들었고, 하나의 통일된 국가 또한 이뤄냈다. 하지만 또 다른 내분의 계기가 되기도 하며 이탈리아의 통일은 불완전성을 드러냈다.
Ⅱ. 본 론
1. 통일의 배경
신항로개척 이후 16세기 이후의 이탈리아반도는 중심에서 밀려나 도시국가를 비롯한 전 지역이 가난하고 유럽사에서 뒤처지게 된다. 대외적으로는 에스파냐, 프랑스의 부르봉왕조, 합스부르크의 전쟁과 약탈이, 대내적으로는 분열이 거듭되며 통일국가를 꿈꾸게 된다. 이탈리아 반도의 여라 나라 가운데 북서부의 사보이 왕국은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세력의 중간에서 부르봉 왕가와 합스부르크 왕가의 분쟁을 교묘히 이용하며 독립과 영토 확장을 하며 북부 이탈리아 지방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이 되었고, 사르데냐 섬까지 지배하게 된다. 훗날 피에몬테-사르데냐 왕국으로 변신하며 이탈리아 반도 통일의 주역으로 등장 한다.
이탈리아의 통일운동은 1789년 프랑스 대혁명이 불길을 당기게 된다. 전 유럽에 영향을 미친 프랑스 대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은 비록 왕정으로 되돌아가면서 혁명 전과 같이 되어버렸지만, 세계는 이미 1789년 이후의 관성을 가지게 되었다. 프랑스 대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이 유럽대륙에 뿌린 씨앗은 바로 자유, 평등, 박애라는 혁명정신으로 봉건 왕권에 도전하는 자유주의 정신이었다.
자유주의 못치 않게 중요한 것은 늘 다민족과 분열로 국력을 모으기 힘들었던 이탈리아 반도가 다양한 민족을 아우르는 그들만의 정체성을 지니기 위해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였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크리스토퍼 듀건, 『 미완의 통일 이탈리아사』, 개마고원, 2001
이원복, 『먼나라 이웃나라 - 이탈리아』, 김영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