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학, 나의 시간관리와 목표관리
- 최초 등록일
- 2019.11.13
- 최종 저작일
- 2019.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간호관리학, 나의 시간관리와 목표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시간관리를 잘하는 방법
2) 시간관리 분석
(1) 3일간 나의 시간관리 분석
(2) 3일간 낭비한 시간 분석
(3) 3일간 시간관리 평가
3) 목표관리를 잘하는 방법
4) 목표관리 분석
(1) My Goal Setting
(2)나의 시간관리 매트리스
(3) 기간 별 나의 목표 & 계획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위키피디아에서는 시간관리의 정의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표준시간을 기준으로 생산활동을 조직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어떤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어느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가’를 측정, 분석, 기록하여 표준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흔히 동작연구와 함께 실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요즘은 동작 불능 시간 중에서 보전 시간, 개수 시간, 보급 대기 시간을 제외한 시간을 나타내는 관리 시간이라는 개념까지 생겨났다. ‘시간연구’의 창시자는 테일러로서 그의 과학적 관리법의 일환으로 개발된 것이다. 시간관리의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스톱워치법과 워크팩터법 및 엠티엠법의 세 가지가 있다. 그 중 스톱워치법은 테일러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이는 표준화된 작업을 평균 노동자에게 실제로 행하게 하여 그 시간을 스톱워치로 측정하고 일정한 보정을 하여 표준 작업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한 설문조사를 보면 대학생 99%는 이러한 시간관리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정작 시간관리 자체는 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낭비의 주요 이유는 시간 허비의 이유로 가장 많은 수가 ‘귀차니즘, 게으름’을 꼽았다. ‘습관적으로 보게 되는 스마트폰’은 21.2%로 2위에 올랐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시간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 내가 시간을 어떻게 쓰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진지하게 생각해보거나 돌아본 적이 없다.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주어지는 시간,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같은 시간을 가지고 똑같이 보내지는 않는다. 이번 레포트에서는 간호학과 3학년, 취업준비와 국가고시를 앞두고 있는 나는 시간관리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낭비하는 요소를 찾는 과정을 통해 설정한 목표를 위한 바람직한 시간관리 전략을 모색해보고한다.
Ⅱ. 본론
1) 시간의 관리를 잘하는 방법
① 가능한 즉시 처리하라 : 메모, 편지, 보고서 등이 책상 위에 도착했을 때 나중에 처리하기 위해 서랍속이나 서류철 속에 두지 않는다.
참고 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A%B0%84_%EA%B4%80%EB%A6%AC
http://www.ajunews.com/view/20140228080647773
간호관리학, 임영희 외,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