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대학 글쓰기 1 : 기말보고서/논문 : 사이버문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서울대화학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서울대학교 대학 글쓰기 1 수업에 기말 보고서로 제출한 논문입니다.주제는 악성 사이버 문화입니다.
목차
1. 서론2. 악성 사이버 문화
2.1. 정의
2.2. 악성 사이버 문화의 분류
2.2.1. 악성 채팅문화
2.2.2. 악성 SNS 문화
2.2.3. 혐오문화
2.2.4. 기타
3. 해결방안
3.1. 법률적 방안
3.2. 근본적 방안
4. 결론
본문내용
지난 몇 십 년간 기술은 그 이전에 비해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발전했다. 그중에서도 통신 기술의 발달은 눈여겨볼 만한데, 현재 우리 일상이 통신 기술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 현대인들의 삶은 인터넷과 떼려야 뗄 수 없다. 많은 사람은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표출한다. 신문 대신 인터넷 뉴스를 통해 세상의 소식을 확인하기도 하고, SNS를 통해 타인과 소통하기도 한다. 인터넷은 1960년대 미국 국방부 산하의 연구국의 연구 네트워크로부터 비롯되었다. 초기 인터넷 통신망은 ARPANET이라고 불리었다. 이는 냉전 속 극한 상황에서의 통신을 위해 고안되었는데, 이게 상업적, 일상적 용도로 확대된 것이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이다.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대중화되기 시작된 것은 1992년 ‘월드 와이드 웹’의 발명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 따라서 인터넷이 일상생활에 자리 잡기 시작한 지는 30년의 세월도 채 흐르지 않은 것이다. 인터넷의 파급력으로 인해 사회가 짧은 시간 내에 급변하는 탓에, 사회 구성원들의 의식 수준이 기술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문화 지체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최근 유명인 ‘설리’가 인터넷 사용자들의 악성 댓글로 인해 자살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여,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이 사건이 전 국민에게 알려지면서 인공지능 등을 이용한 다양한 조치들이 취해지고 있으나,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다. 사실 유명인들이 악성 댓글로 인한 고통을 호소하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에겐 새로운 일이 아니다. 악성 댓글로 인한 피해 사례가 계속 발생하는 것은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인터넷 의식이 선진적이지 못하다는 사실의 강력한 증거이다. 그런 탓에, 사이버 문화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악성 댓글의 실태와 심각성, 그리고 그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자료는 찾기 어렵지 않다. 악성 댓글에 관한 연구 중 하나인 「악성댓글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살펴보자.
참고 자료
논문성윤숙, 「SNS를 중심으로 한 사이버 따돌림 대응방안」, 『NYPI 기획세미나 청소년과 SNS 소통』,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4.06, pp.87~107.
윤하나, 김상호, 「욕망을 추동하는 커뮤니케이션의 거리와 혐오의 일상화」,『언론과 사회』(제26권 제1호),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8.2, pp.5~33.
임규철,「정보통신망법의 인터넷 실명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법학연구』(제47권 제0호), 한국법학회, 2012.8, pp.71~94.
이동수, 「인터넷 서비스의 대중화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의 변화」, 『데이터베이스월드』(제41권), 한국데이타베이스진흥센터, 1996.10, p.16~19.
이성식,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 청소년언어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제41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5.6, p.77~107.
이성식, 「인터넷게시판 악성댓글 피해요인에 관한 연구」,『피해자학연구』(제16권 제1호), 한국피해자학회, 2008.6.30, pp.67~85.
정승민, 「악성댓글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16권 2호), 한국공안행정학회, 2007.6.30, pp.172~201.
인터넷자료
<워마드>, 『위키백과』, 2019.10.30,
<https://ko.wikipedia.org/wiki/%EC%9B%8C%EB%A7%88%EB%93%9C>, 2019.11.6.
<인터넷>,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5514&mobile&cid=40942&categoryId=32854>, 2019.11.5.
<인터넷>, 《위키백과》, 2019.10.13,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D%84%B0%EB%84%B7>, 2019.11.5.
지영은, <'설리 비극' 막자…연예 뉴스 댓글 차단 '초강수'>,《MBC뉴스》, 2019.10.25,
<http://imnews.imbc.com/replay/2019/nwdesk/article/5563984_24634.html>, 2019.11.5.
<'SNS: 매일 인터넷 상에서 가장 끔찍한 사진을 봐야하는 사람들>,《BBC 코리아》, 2018.10.20,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45872314>, 2019.11.5.
박은하, <[‘일베 현상’에서 한국 사회를 본다]노골적인 진보·여성·외국인 혐오… “진보 비방이 재미있어 보수 자처”>,《경향신문》, 2013.6.2,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6022234405&code=940202>, 2019.11.06.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A+ 에브리타임 익명커뮤니티의 혐오발언이 대학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3페이지
A+ 서평 헤이트를 읽고 나서 13페이지
SNS의 잘못된 사용습관 개선하기 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