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법론
- 최초 등록일
- 2019.11.11
- 최종 저작일
- 2019.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한국어문법론 과목에서 100점을 받은 레포트로서, 어려운 자료들을 이해하고 쉽게 정리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은 결과물입니다.
해당교수로부터, "전체적으로 구성과 인용도가 좋고 자신의 경험에서 비롯된 의견과 최신 현상에 대한
견해가 상세히 더해져서 좋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교수 평가 점수 마지막 페이지에 첨가함)
특히 처음 레포트를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거라 믿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높임법의 정의와 체계
2. 상대높임법
3. 주체높임법
4. 특수 어휘에 의한 높임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높임법은 본래 한국 사회의 가족 관계 및 신분적 계급 제도와 사회 윤리를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사회 구조의 변동과 의식 구조의 변화로 높임법 체계 자체가 무너지고 있는 추세이다. (김선영, 2010)
반면, 필자가 외국에 살면서 한국을 방문했을 때 마주했던 에피소드는 또 다른 현상을 보여준다. 식당에 갔는데, “손님, 갈비탕 나오셨습니다. 뜨거우십니다!” 하는 것이었다. 처음에는 “뭐지?” 하는 느낌에 실소하고 말았는데, 차차 이러한 손님에 대한 극존칭이 식당뿐만 아니라 커피전문점, 병원, 마트 등에서도 자연스럽게 쓰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서비스업계의 잘못된 극존칭은 이제 우리 사회에서 흔한 화법이 된 것이다.
이에 대한 비판도 있다. 또한 ‘높임법의 필요성과 불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종종 일어난다. 이처럼 다양한 시선에서 보면 분명 논쟁을 일으킬만한 소지가 있는 “높임법”에 대해서 본론에서 자세하게 논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높임법의 정의와 체계
‘높임법’이라는 용어는 누군가를 높인다는 의미가 강하기 때문에 낮추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고 인식하기 어렵다.(최석재, 국어 대우법 체계의 정보화연구, 2008) 그러나 높임 표현의 종류를 보면, ‘말하는 사람이 자신을 낮춤으로써 상대를 높이는 경우’(한국어 문법론, 7주차)에서 알 수 있듯이 높임과 낮춤을 모두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대우법’이라는 용어도 있지만, 현 학교문법에서는 ‘높임법’이라는 용어를 채택하고 있다.
여기서 ‘높임법’의 종류를 통해 다시 한번 의미를 정리해보자.
①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을 높여야 하는 경우
② 문장의 주어로 등장하는 주체를 높여야 하는 경우
③ 목적어나 부사어 등으로 등장하는 객체를 높여야 하는 경우
④ 말하는 사람이 자신을 낮춤으로써 상대를 높이는 경우 (이상 한국어 문법론 7주차)
참고 자료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높임법 지도 방안 연구, 김선영, 2010, 공주대학교대학원
한국어 교재에서의 높임법 연구, 최종숙, 2007, 안동대학교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론, 배론원격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