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R을 통한 DNA 증폭 관찰 및 분석 레포트 (A+ 평가자료)
소개글
PCR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로 targeting하고 있는 DNA 절편을 증폭해 본다. PCR 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 Discussion 내에 사용한 methods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기재하였습니다.추가로, Project 내에 DNA의 합성과 복제에 대한 설명, PCR의 원리, Tm의 의미에 대한 해석도 조사 및 해석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Ⅰ. Title: 실험 주제Ⅱ. Purpose: 실험 목적
Ⅲ. Material: 실험 도구
Ⅳ. Method: 실험 방법 및 과정
Ⅴ. Results: 실험 결과
Ⅵ. Discussion
Ⅶ. Project
Ⅷ. Reference.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Ⅳ. Purpose: PCR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로 DNA의 절편을 증폭하여 본다.Ⅴ. Materials: Template DNA(colony), Taq polymerase, dNTP, primer (front, reverse), 10X reaction buffer, DW, PCR machine, micropipette, microtube
Ⅵ. Method
① DNA 및 다른 시료들을 아래 표의 농도로 준비한다.
② 시료들은 양이 많은 순으로 섞는다.
③ 아래의 반응 조건에서 PCR을 수행한다
Reaction 조건
95° 2min initial denaturation
95° 10sec second denaturation ┓
55° 5sec annealing ┣ 30 cycle
72° 1min/kb polymerization ┛
72° 20min
4° extension
Ⅶ. Results
위의 시료들을 섞어 만든 25ul reaction을 이용해 PCR을 진행하였고, 우리 조의 실험 결과값과DNA ladder를 비교하여 DNA 절편의 크기, 질량을 알아 낼 수 있었다. DNA ladder는 ADW 4ul, 6x purple dye 1ul, DNA ladder 1ul를 섞은 총 6ul로 구성하였으며, PCR 처리 이후 well의 첫 번째 lane에 loading하였다.
결과 비교 분석
35분간 전기영동을 시행한 결과의 사진에서 좌측부터 첫 번째 Lane은 DNA ladder marker에 해당하는 결과이며, 두 번째 Lane은 우리 조의 실험 결과에 해당한다.
well의 첫 번째 lane과 두 번째 lane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크기 1.0 kb, 질량 122ng의 DNA 절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실험에서 다른 조에서 확인된 DNA 절편의 크기, 질량이 다른 이유는 Discussion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1412&cid=60266&categoryId=60266 / 네이버 지식 백과 (생화학 백과)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 Primer(시발체), 합성 시발체 (PCR)에서의 사용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7341&cid=60261&categoryId=60261 / 네이버 지식 백과 (생명과학 대사전) → Denaturation (핵산 변성)
생화학 / 방병호 및 3인 / p. 366~375 / 도서출판 진로 / 2009
→ DNA 복제와 합성 과정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69227&cid=61233&categoryId=61233 / 네이버 지식 백과 (분자 세포생물학 백과) /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DNA의 복제 과정 (개시, 신장, 종료)
PCR 실험의 원리와 응용 / 최용락 외 2인 / p. 1~5, 27~29, 231~233 / 세종출판사 / 2002
→ PCR의 정의, "T" _"m" 의 정의 및 계산식, 전기영동 분석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
24276 / 두산 백과 (doopedia) → PCR 원리 및 특징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입문서 제 7판 / T.A Brown / p. 157~164 / Blackwell / 2017
→ PCR의 원리 단계별 특징, 세부내용, "T" _"m" 의 정의 및 특징
임상 분자생물학 / 김은중 외 7인 / p. 53~55 / 고려의학 / 2010
→ "T" _"m" 의 정의 및 특징,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