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벨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 제9판 Chapter 20 요약정리
- 최초 등록일
- 2019.10.22
- 최종 저작일
- 2019.10
- 7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1,500원

판매자col******* (본인인증회원)
12회 판매

소개글
"캠벨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 제9판 Chapter 20 요약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물의 형태는 완벽한 설계가 아니다
2. 동물의 구조는 기능에 적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3. 조직은 공통적인 구조와 기능을 가진 세포집단이다
4. 상피조직은 체표면을 덮거나 기관과 강의 내벽을 둘러싸고 있다
5. 결합조직은 다른 결합조직에 결합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6. 근육조직은 움직임에 관여한다
7. 신경조직은 전달 체계망을 형성한다
8. 기관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9. 생명공학자들이 이식용 기관 생산에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있다
10. 기관계는 협동하여 몸의 기능을 수행한다
11. 피부계는 몸을 보호한다
12. 동물의 구조는 환경과 교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적응되어 있다
13. 동물은 내부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14. 항상성은 음성 되먹임에 의해 조절된다
본문내용
- 기린의 후두신경은 뇌로부터 목 아래로 내려가 가슴의 대동맥 주위를 유턴한 후 목구멍으로 되돌아가 근육을 자극함 -> 후두신경의 길이가 5m에 이름
- 기린의 후두신경이 길어지게 된 이유?
┗ 기린을 포함한 사지동물은 배 발생 과정에서 후두신경이 대동맥 주위를 감싸는 형태를 띰
┗ 발생기간 동안 목이 길어져 대동맥과 목구멍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됨
┗ 후두신경을 끊었다 다시 연결하는 것보다는 후두신경이 길어지는 방향으로 선택됨 (최적이 아니라 최선)
- 어류와 사지동물의 초기 배는 매우 유사함 ; 사지동물은 뇌-후두, 어류는 뇌-아가미 연결
┗ 어류는 목 부분 없이 뇌와 대동맥 아가미가 가까이 위치해 있음
┗ 사지동물은 대동맥이 뇌와 멀리 떨어져 있어 후두신경의 길이가 길어지게 됨 (적응)
- 사지동물의 후두신경이 구조적으로는 완벽하지 않을 수 있어도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충분히 우수함
* 사지동물은 자연선택의 과정에서 왜 직접적인 경로의 짧은 후두신경보다 길고 구부러진 신경을 갖게 되는가
- 뇌와 목구멍을 직접 연결하기 위해서는 신경을 끊었다가 다시 연결해야 해서 생명에 지장을 줄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