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시대별 간호역사
- 최초 등록일
- 2019.10.07
- 최종 저작일
- 2017.06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우리나라 시대별 간호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 간호역사 학습의 필요성
2. 본론
1) 조선시대의 간호 (~1876년)
2) 근대시대 (구한말) 간호(1876년~1910년)
3) 일제강점기 시대의 간호 (1910년~1944년)
4) 해방과 정부 수립기 간호 (1945년~1949년)
5) 한국전쟁과 성장기 간호 (1950년~1979년)
6) 최근 간호 (1980년~)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역사 학습의 필요성
-간호의 역사를 잘 알아야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간호에 대한 총체적사고를 하기 위해서이다. 환자들을 대하면서도 옳은 간호를 하고 있는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 판단을 하기 위한 전문직 간호사로서 당연히 배워둬야 하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과거에 있었던 사건들로 인해서 어떻게 간호가 변화해왔는지 영향을 알고 대처하는 방법을 보면서 미래에 대해 설계하여 도움이 되는 간호를 얻을 수 있다. 오늘날의 간호문제해결을 위해서도 의사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대처방법 등 많은 부분들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간호역사를 연구하는 것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조선시대 간호 : 의녀제도의 시작이다.
-조선 초기의 전통의료체계는 내의원, 전의감, 혜민서 등의 국가 기관 중심. 의녀라고 부르는 의료인이 있었는데 태종 6년 3월 제생원이 설치된 이래 구한말까지 의녀는 이어져 왔다. 요즘으로 치면 간호사와 조산부의 역할을 하던 하층계급의 의료인으로 서민층과 부인들의 의료를 담당하였다. 처음에는 제생원에서, 후일 혜민서에서 그 교육을 담당하였고 진맥, 조산, 간호, 명약 등 활약도 컸으나 연산군 시대에 이르러 궁중에서 벌어지는 연회에 접대역을 맡으면서 본래의 직분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그 역할이 미미해지고 말았다. 의녀제동의 본래 취지는 부녀자 진료였으며 존귀한 집 부녀 뿐 아니라 백성인 평민 여성들까지도 포함하였다. 또한 남성 의료인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여성에 대한 독자적인 진료 활동을 담당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참고 자료
고명숙 외, 2008, 간호학개론, 수문사, p. 239~310
고순희 외, 2017, 간호학개론, 퍼시픽북, p. 91~168
정면숙 외, 2015, 간호학개론, 현문사, p. 201~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