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개념
- 최초 등록일
- 2019.10.05
- 최종 저작일
- 2019.08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청소년의 개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청소년 개념의 이해
1) 청소년의 어원적 정의
2) 청소년의 개념
(1) 발달심리학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
(2) 취학 및 학력에 따른 청소년
(3) 나라별 법률 기준에 따른 청소년
2. 청소년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3. 학자별 이론적 정의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2) 에릭슨의 자아심리이론
3)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4. 청소년의 특성
1) 신체적 특성
2) 심리적 특성
3) 사회적 특성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청소년이라는 용어는 동서양에서 그 의미가 다양하게 사용된다.
영어권에서는 심리적인 의미가 내포된 ‘adolescent’와 생리학적 의미가 내포된 ‘puberty’,
사회 문화적 의미가 내포된 ‘’youth’와 ‘teenager’를 사용하고 있다.
영어의 ‘adolescent’는 라틴어 ‘adolescere’에서 유래한 것으로 그 의미는 ‘성장하다’ ( to grow up) 혹은 ‘성숙하다 ’ (to grow to maturity) 라는 의미가 있다.
영어의 ‘adolescent’라는 개념은 발달 심리학에서 도출되어, ‘육체적으로 급성장하고 정신적으로 부모로부터 독립성과 자아개념이 성숙하는 시기로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행하는 발달단계’로 정의하였다. 이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행해가는 과도기적 성격을 강조하며, 심리적인 변화과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kimmel &Weiner, 1995)
‘Puberty’는 라틴어 ‘pubertas’에서 유래된 용어로 ‘사춘기’가 시작되는 시기임을 의미한다.
한편 ‘youth’는 후기 산업사회가 만들어낸 부산물로 시민들에게 높은 교육적 수준의 성취를 요구하면서 생겨난 새로운 인생 주기로서 청소년의 과도기적 성격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자율성과 책임성, 권리옹호와 참여 그리고 시민성 등을 강조하는 용어로 이들만의 독특한 문화적, 사회적 특성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 (Keniston, 1970)
역사적으로 청소년이란 용어가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지 않았다. 농경사회에서는 어른이 아니면 아이였고, 청소년이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았다.
청소년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산업혁명과 의무교육의 등장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의무교육이 등장하면서 청소년의 교육 기간이 노동시장에 유입되지 않고 경제활동에서 제외되는 특권이 부여되면서 인간발달단계에서 청소년기를 고유한 발달 시기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청소년에 대한 용어에 있어서 관념적 용어인 ‘사춘기’나 ‘10대’의 개념이 사용되고 있다.
참고 자료
청소년 교육론|권이종, 김용구|교육과학사│2011
청소년 문화론│권이종, 김천기, 이상오|공동체 │2011
청소년 문제화 보호|신성철, 이동성 외 3명 저|정민사│2014
청소년 문화론|성열준, 강병연, 이채식 외 4명 저|정민사│2011
청소년 문제와 보호│오윤선 최아람 저│양서원 │2018
청소년문화론│신성철 신종우 정희정 외 3명 │정민사 │2015
청소년복지론│이태희 정재필 │지식공동체│2018
청소년심리의 이해│임영식, 한상철│2000
청소년의 이해│최명구, 김누리│학지사│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