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한국인
- 최초 등록일
- 2019.09.27
- 최종 저작일
- 2019.01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10,000원
- 100 page
- PDF 파일
- 상세 보기
목차
1. 한국 사회는 사춘기
2. 주체성
3. 가족 확장성
4. 심정 중심주의
5. 복합유연성
6. 불확실성 회피
본문내용
그 사회의 구성원들은 보통 자기가 살고 있는 사회의 문화심리적 특성이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한 사회의 문화심리적 특성이 그 구성원 스스로에게도 잘 느껴지는 시기가 있다. 바로 그 사회가 질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그것을 이루어가고 있을 때다. 이런 과도기에는 과거의 당연했던 모든 것이 당연하지 않게 느껴진다. 인간에게 바로 이런 순간중 하나가 사춘기이다.
한국 사회는 지금 그런 사춘기를 경험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 사회를 발전시켜온 특성들, 너무나도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을 강하게 인식하기 시작했다. 사춘기의 청소년들은 자신의 과거, 현재, 자기와 주변의 모든 것을 부정적으로 본다. 마찬가지로 지금 한국인은 한국의 특성들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헬조선’이라는 말은 그래서 나온 말이다. 이를 나쁘게 볼 필요는 없다. 이는 새로운 자기를 찾기 위해 겪는 당연한 현상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