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기화학실험] 재결정과 TLC"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실험목표2. 핵심개념
3. 실험기구
4. 실험 방법
5. 참고문헌
6. 결과
7. 토론
본문내용
1) 결정(crystal)- 결정이란 원자나 이온들이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있는 고체 상태의 물질이다. 결정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입자 사이의 결합을 끊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모든 부분에서 같으므로 녹는점이 일정하다. 열전도율, 전기 전도율, 굴절률 등의 물리적인 성질은 빛에 대한 결정의 성질이 결정체의 방향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비등방성이다. 결정은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규칙적인 배열이 고체 전체에 균일하게 이루어져 있는 단결정과 부분적으로는 결정을 이루지만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균일한 결정이 아닌 경우인 다결정이 있다. 또한 결정은 그것을 구성하는 입자와 화학 결합의 종류 등에 의하여 여러가지 결정으로 나눌 수 있다. 결정의 종류로는 이온 결정, 금속 결정, 공유 결정, 분자 결정 등이 있다.
2) 재결정
-결정을 용융(melting)시키거나 용매에 용해(dissolution)시켜 결정구조를 완전히 분열시킨 후 식혀서 다시 새로운 결정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불순물이 용융액이나 용액속에 남아 있게 하여 순도를 높여 순수한 고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대부분의 고체물질들은 차가운 용매에서 보다 뜨거운 용매에서 훨씬 용해도가 크다. 용해도가 다른 물질들을 섞은 혼합물을 가열한 후 재결정할 때 결정은 차가울 때의 온도와 따뜻할 때의 온도에서의 각각의 용해도 차이에 의해 용해도가 낮은 결정이 먼저 생성된다.
3) 용매
- 용매는 어떠한 용액이 존재할 때 용질을 녹여 용액을 만드는 물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용매는 대부분 액체이고, 액체와 액체가 섞어진 화합물에서는 양이 더 많은 액체가 용매이다. 액체상의 용매의 경우 공통적으로 끓는 점이 낮아 휘발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용매는 액체상이 아닌 혼합물에서 특정 물질을 추출할 때에 사용되기도 한다. 용매는 용질의 반응을 시키거나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참고 자료
김봉래. 「HIGHTOP」. 두산동아(2014). 1권 70p.박정환. 「유기합성실험」. 신광문화사(2011).
고광윤. 「유기화학실험」. 사이플러스(2016).
양성봉 외 3명. 「유기화학실험」. 대웅(1992).
김영희. 「생화학실험서」. 아카데미서적(2004).
위키백과.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
https://ko.wikipedia.org/wiki/%EC%96%87%EC%9D%80%EC%B8%B5_%ED%81%AC%EB%A1%9C%EB%A7%88%ED%86%A0%EA%B7%B8%EB%9E%98%ED%94%BC.
두산백과. “니트로아닐린”.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78788&cid=40942&categoryId=32279.
지식백과. “녹는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77423&cid=40942&categoryId=32251.
지식백과. “용해도 곡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45246&cid=47337&categoryId=47337.
지식백과. “용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94685&cid=60289&categoryId=60289.
구글. “o-nitroaniline”.
https://translate.google.co.kr/translate?hl=ko&sl=en&u=https://en.wikipedia.org/wiki/2-Nitroaniline&prev=search.
구글. “p-nitroaniline”.
https://translate.google.co.kr/translate?hl=ko&sl=en&u=https://en.wikipedia.org/wiki/4-Nitroaniline&prev=search.
구글. “에탄올”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D%83%84%EC%98%AC.
분석화학교재연주회. 「분석화학(제6판)」. 자유아카데미(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