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교육)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형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
- 최초 등록일
- 2019.09.02
- 최종 저작일
- 2019.09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형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I.서론
II.본론
1. 1940년대 한국의 평생교육 정책
2. 1960년대 한국의 평생교육 정책
3. 1980년대 한국의 평생교육 정책
4. 2000년대 한국의 평생교육 정책
III. 결론, 평생교육의 필요성
IV.참고문헌
2.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I. 서론
II. 본론
1. 기본 욕구의 특성
2. 욕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3. 자기실현과 교육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이란, 유사 이래로 인류에게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행위였다. 선대가 획득한 지식을 후대로 전해주는 교육의 정의 이외에도, 교육은 인류의 무기이자, 방패였고, 어둠을 밝혀주는 횃불역할을 해왔다. 19세기 이후 시민사회가 정립된 이후에도 교육은 공교육, 대중교육, 전문교육, 특수교육의 형태로 우리 사회 곳곳에 침투하여 사회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공교육이 확립된 이후로 교육은 자본주의의 맹아로써 시민사회의 주동력이 되었지만, 실질적으로 교육을 받는 시민들의 삶의 질을 제고하였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물음표로 대답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공교육은 자본주의의 발전을 위하여 어쩔 수 없이 질 낮은 대중교육의 성질을 띠고 발전하였으며, 전문교육을 받기 이전 단계라 할지라도 현대 사회에서는 점점 교육의 본래 목적을 상실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는 평생교육의 개념이 점점 중시되고 있다. ‘요람에서 무덤까지’ 평생 동안 교육이 필요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언제든지 어디서든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평생교육의 모토는 의무교육으로 대표되는 공교육의 개념과 비슷하게 출발하지만, 그 결과는 전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빠르게 이루어지는 기술의 발전과 사회형태에 뒤처지기 쉬우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 적응할 수 있는 지식을 끊임없이 획득하며 살아가고 있다. 기술을 배우거나, 혹은 새로운 학문을 공부하거나 하는 형태로 나타나는 이러한 형태의 교육은 평생교육이라는 교육 개념이 이미 사회 전체로 퍼져나갔음을 의미하며, 청소년기 혹은 영유아기에 집중되는 현대 공교육과는 달리, 나이, 성별, 연령, 직업 등의 구별없는 모든 계층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고령화 사회가 계속되어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 사회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1998년 4%, 2004년 7%, 2010년 14%와 같이 급격하게 늘고 있으며, 2020년에는 25%에 육박할 거라는 전망이 있다.
참고 자료
이홍우·유한구·장성모(2003). 「교육과정이론」, 서울: 교육과학사. 현주 외(2013). 「초·중등 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Ⅰ)」,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강선보 외(2008).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연구」 , 「교육문제연구」 30, 1-3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