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산업혁명사회에 적합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 최초 등록일
- 2019.08.31
- 최종 저작일
- 2019.06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3,000원

목차
1. 논문 소개
2. 시사점
3. 비판점
4. 요약 및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식기반 사회와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에 따라 대학에서 전공교육만큼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교양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에 앞서 교양교육의 의미와 교양교육과정의 구성요소인 교양교육의 목표와 구조, 운영 및 관리 체계에 대한 이론설명이 있었고, 연구의 비교 분석 틀에 대해 소개하였다. 연구는 목표설정, 운영 및 관리체계, 교육과정 편성의 측면에서 세계의 주요 대학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의 목표는 학교와 나라마다 개별적인 특성이 있고, 운영과 관리의 측면에서 전임교수와 학생의 비율은 대체적으로 1:15를 넘지 않았으며 하버드대학은 1:1.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양교육의 전담기구는 북경대학을 제외하고 모든 대학에 있었으며 교양상담센터는 하버드대학, 브라운대학, 도쿄대학에만 설치되어있고 특별히 싱가포르대학에는 교양우수학생을 관리하는 특별프로그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의 편성측면에서 졸업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학점에서 교양교육이 차지하는 학점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하버드대학은 최대범위 56.3%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세대학은 최소범위 31.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논문이 우리나라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에 대하여 제시한 시사점으로는 대학과 교양교육과정의 목표에 있어서 방향적으로 개혁이 일어나야 한다는 점과 전임교수 1인당 학생비율을 낮춰야 한다는 점, 졸업학점에서 교양교육의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이다.
시사점
이 논문에서도 언급했듯이 현대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앞으로 더 빠르게 발전해 나갈 전망이다.
참고 자료
윤유진, 이연주,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육연구, 2018.4, 12(2)
김진하,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KISTEP InI』, 15호, 20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