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성이론
- 최초 등록일
- 2019.08.30
- 최종 저작일
- 2019.04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지도성의 개념
2. 특성론적 지도성 이론
3. 형태론적 지도성 이론
4. 상황론적 지도성 이론
5. 현대의 지도성 이론
본문내용
1. 지도성의 개념
※다루는 입장이나 관점에 따라 다양하다.
[스토그딜]목표설정과 목표달성을 위해 조직화된 집단의 활동에 영향을 주는 과정
[테리]집단의 목표달성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치는 행위
[캠벨]사람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
[리팜]사회체제 내에서의 상호작용에서 새로운 구조를 시도하는 개인의 행동
[허쉬와 블란차드]일정한 상황하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의 집단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피들러]지도자가 구성원들의 과업을 지휘·조정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행동 특성이며, 여기에는 직업관계를 구성하고 구성원을 칭찬하고 비판하며, 구성원들의 복지와 감정에 대한 배려를 보여주는 행위가 포함됌.
[클라크 등]지도성이란 응집력 있고 목표지향적인 팀을 만드는 것
[김명훈]지도성에 대한 정의를 지도자와 구성원과의 관계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 ①지도성은 지도자가 구성원을 지휘하는 기술이라고 보는 입장 ②지도성은 우수한 자에 의한 지배와 감독이라고 보는 입장
③지도자가 구성원에게 주는 ‘영향력’이라고 보는 입장 ④지도자와 구성원의 상호관계라고 보는 입장
∴지도성이란 주어진 상황에서 조직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집단 구성원으로 하여금 목적수행에서 자발적으로 공헌할 수 있도록 유도·조정하는 행동
+지도성의 함수관계는 지도자, 구성원, 상황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특성론적 지도성 이론
-지도자의 특성과 기술(스토그딜)
①능력:지능, 기만성, 언어적 유창성, 독창성, 판단력
②성취:학문, 지식, 운동경기
③책임:신뢰, 솔선수범, 인내, 적극성, 자신감, 성취욕
④참여:활동성, 사회성, 협동성, 적응성, 유머
⑤지위:사회경제적 지위, 인기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