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사업
- 최초 등록일
- 2019.08.13
- 최종 저작일
- 2019.08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신재생에너지 사업
1-1. 해상풍력개발 기반구축사업
1) 사업내용 및 기대효과
2) 주요국 현황
3) 개요
1-2. 해외진출지원사업
1) 개요
2) 사업내용 및 절차
1-3. 시범보급사업
1) 사업내용
1-4. 지방보급사업
1) 개요
2) 사업내용
3) 추진실적 및 성과
1-5.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1) 개요
1-6. 그린홈100만호보급사업
1) 사업내용
1-7. 설비 인증 및 표준화
1) 개요
2) 추진절차
3) 사업 내용 및 향후 계획
1-8. 건축물 인증제도
1) 개요
2) 인센티브
3) 신청절차
1-9. 테스트베드 구축
1) 사업내용 및 체계
2) 향후 계획
3) 개요
1-10.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및 제도
1) 세부 추진계획 9
2)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 목표
1-11. 성능검사기관의 고도화
1) 개요
2) 사업 내용 및 기대효과
1-12. 공급의무화(RPS)제도
1) 개요
2) 기대효과
본문내용
1-1. 해상풍력개발 기반구축사업
1) 사업내용 및 기대효과
해상풍력 지원항만은 서남해 2.5GW 해상풍력발전계획의 실증단계에 군산항 6부두 3선석을 시범단계에는 군산항 7부두 5선석을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신규로 건설되는 7부두 5선석의 경우, 최대 15톤/㎡의 상재하중용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할 계획이며, 1200톤급 하버크레인 및 오버헤드크레인 등을 구축하여 원활한 물류시스템을 지원할 예정이다. 해상풍력산업은 최근의 성장세로 미루어 보아 향후 크게 확대될 잠재성을 내포하였기에 건설, 제조설비, 운영 및 유지․보수의 역할을 아우를 수 있는 발전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간 시너지효과를 창출해낸다면 국내 해상풍력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정부, 지자체, 민간 개발사의 협동과 노력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항만 이용이 가능토록하여 아직은 한정적인 물류량에 비해 경제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강구하며,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프라를 구비하여 수요창출을 극대화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건설계획이 구체화된 서남해 해상풍력단지 건설을 적기에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하루빨리 이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해상풍력의 전문성을 보유한 항만으로 도약하기 위하여 미래 수요대응과 수출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태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2) 주요국 현황
(1) 독일
독일은 2020년까지 북해상에 30개, 발트해상에 10개 등 총 40개의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만큼 해상풍력 항구 개발에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사전조립과 적치시설을 완비하고 특수설치선 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하는 등 해상풍력단지 건설 및 제조를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항구로 개발하기 위하여 브레머하펜(Bremerhaven)항을 신규로 개발하였다.
(2) 영국
영국 내에는 약 25개의 항만이 분포되어 있으며 그 중 22개의 항만이 해상풍력 항만으로서 개발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