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프림(Supreme)의 성공전략 분석 - 한정판 생산과 미국소비문화의 특성을 중심으로 -
- 최초 등록일
- 2019.07.29
- 최종 저작일
- 2019.07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슈프림(Supreme)의 성공전략 분석 - 한정판 생산과 미국소비문화의 특성을 중심으로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연구목적과 의의
2.이론적 배경
Ⅱ.본론
1.특수 소비계층 (흑인문화의 이해)
2.미국의 소비자문화 특징
3.슈프림의 경영전략
4.슈프림의 성공전략 분석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연구목적과 의의
오늘날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는 수많은 브랜드가 있고, 전 세계는 그 브랜드들을 공유한다. 무한경쟁체재 안에서 기업들은 자신들만의 생존전략으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주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주요 생존전략은 장르를 불문하고 대량생산에 입각한 생산구조체제이며 기업의 입장에서는 기업의 제품이 적절한 수요가 있다면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오늘날 전 세계적 추세에 따라 사람들의 삶의 질이 높아지고, 고부가가치가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원하며 그들은 획일화된 제품이 아닌 오로지 개인을 위한 특별한 브랜드를 원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수준 높은 기술과 그들만의 전략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이 아닌 개인을 만족시키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한 기업은 브랜드 지향 마인드에 입각하여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해야 하며 새로운 전략을 세워 더욱 높은 소비자 만족을 이끌어 내는 방법도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의 시장에서는 자신들만의 방법으로 브랜드마케팅의 우수한 성공적 기업이 있다. 바로 ‘슈프림’이라는 기업이다. 슈프림의 생산방식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슈프림이란 기업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명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아니다. 그들은 정해진 생산량을 정해놓고, 해당 시즌에만 그 제품을 발매하며 절대 그들의 제품을 같은 디자인으로 생산하지 않는다. 이 생산전략은 무수히 많은 짝퉁을 생산하기도 하지만 그들은 절대 개의치 않는다. 제품을 생산하는 초기 단계부터 그들은 그들의 제품에 고부가가치를 매기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흥미로운 마케팅 전략으로 슈프림은 1994년 1만달러의 기업가치를 시작으로 2017년 기준 4000만달러의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현재 슈프림의 홈페이지는 매주 목요일 미국의 소비자뿐 아니라 전세계 매니아 층의 소비자들이 그들의 제품을 사려고 한다. 과연 소비자들이 이토록 슈프림의 제품에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논문은 미국의 소비자 문화와 흑인문화의 특징을 분석하여 슈프림의 성공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장흥섭(2004) 『현대사회와 소비자』
김정은(2014) 『명품소비성향과 친환경의식이 패션 명품 브랜드의 친환경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주한(2017) 『과시적 소비자와 독점기업의 품질전략』, 『상업교육연구』,
정상준(2011) 『미국의 다문화주의, 소비문화와 미국의 정체성』, 『한국학술협의회』
가정준(2015) 『미국의 강력한 소비자의 권리 어디에서 오는가?』, 『한국비교사법학회』
한국마케팅연구원(2015) 『바이럴마케팅』, 마케팅 49(5), 2015.5
최순화(2017) 『소비자 자민족주의 성향에 따른 미국 소비시장 세분화 연구』 국제경영리뷰,
김경민(2017) 『소셜미디어를 통한 자발적 PR활동의 영향요인연구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이용동기, 과시소비성향, SNS몰입, 설득지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신흥섭(2019) 『외모차별경험이 과시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 물질주의 성향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박희주, 황의관 (2018). 『주요국가 소비자법제 연구』 Ⅰ. 정책연구보고서, 1-257.
주보림 (2008) 『한국 명품 브랜드 창출을 위한 로드 맵 연구 - 세계적 패션 명품 기업들의 성공 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윤남수 (2017)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문화적 차원에 따른 윤리적 소비동기 차이분석』, 한국외식산업학회지,
염미선, 김영인 (2013). 『흑인 문화의 특수성을 내재한 미국의 캐주얼 패션디자인 특성.』 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