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의 개념과 이해 - 단군신화의 현대적 고찰을 중심으로 -
- 최초 등록일
- 2019.07.19
- 최종 저작일
- 2019.07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론
1. 신화의 정의
Ⅱ본 론
1. 단군신화의 원형적 상징성
1) 꿈의 상징
2) 신화적 상징
2. 단군신화에 나타난 한국문화의 원형
1) 한국문학의 원형
2) 민족 고유 신앙의 풍습
Ⅲ. 결론
1. 단군신화의 현대적 의의
1) 공간적 무대와 환경의 자연 친화성
2) 최초의 인간이자 성모로서의 곰네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신화란 무엇인가. 가장 단순하게 설명한다면 신화란 인간보다 탁월한 능력을 지닌 신 혹은 신적 존재에 관한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신화에서 세계는 신 혹은 신적 존재의 의지에 따라 움직이며 우리 인간은 그들의 계획에 따라 그들의 세계에 동참한다. 이는 신화가 인간들이 만든 실제 역사가 - 신화에는 민족의 객관적인 역사가 아니라 그 민족의 태초적 자아의식의 원시적 자각형태가 담겨져 있다. - 아님을 의미한다. 즉 신화는 역사적 현실의 사실적 양상이라기보다는 도리어 현실에 관한 이해와 자각의 상징이며, 역사적 소망에 관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화는 어는 민족의 것을 막론하고 그 문화의 전역사적 ( 前歷史的 )근원인 동시에 모태적 기반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신화는 다음의 두 가지 기능을 한다.
첫째, 신화는 그 민족의 풍속을 고정시키며 행위의 모범을 설정하는 동시에 그 사회의 제도에 위엄과 중요성을 부여하는 규범적인 힘을 지니고 있다. 신화에는 각 민족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덕목과 그들이 추구하는 바가 담겨져 있으며, 이것을 그 민족 구성원과 후손에게 전달하고 있다.
참고 자료
남명진, 「단군신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원초적 인간과에 관한 역철학적 연구」, 『동서철학 연구』 한국동서철학회, 2002.
이어령, 『한국과 한국인 1』, 삼성출판사, 1968.
우실하, 「3수분화의 세계관과 홍익인간의 이념」, 『단군학연구』3, 단군학회, 2000.
유경환, 「단군신화의 원형적 상징성 - 영웅출현 원리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57, 한국국어 교육학회,
임재해,「단군신화를 보는 생태학적인 눈과 자연친화적 홍익인간 사상」, 『단군학연구』
인재해, 「농촌 민속문화의 생태학적 성격과 문화종 다양성 가치」, 『농업 그 다양성의 재발견, 2002경북세계농업한마당』, 국제 학술 심포지움. 2002.
최운식, 「단군신화의 교육적 성격과 의미」, 『국어교육』79, 한국어교육학회,1992.
한건덕, 『꿈의 예시와 판단』, 명문당, 1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