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2016년 건물 환기 연구 동향
- 최초 등록일
- 2019.07.16
- 최종 저작일
- 2017.02
- 6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900원

목차
1. 환기의 개념
2. 환기의 필요성
3. 환기의 종류
4. 필요환기량 계산
5. 국내 환기 기준
6. 국외 환기 기준
7. 환기 관련 연구 동향
본문내용
1. 환기의 개념
환기란, 자연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공기와 교환하는 것을 뜻한다. 재실자로부터의 발열이나 호흡, 땀에 의한 수증기의 발생, 체취, 탄산가스 등의 발산 및 취기, 유해가스, 분진, 발생열에 의하여 오염된 실내공기를 제거하고 신선한 외기와 교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2. 환기의 필요성
호흡에 필요한 산소 공급, 실내에서 발생된 CO2 가스의 희석, 실내에서 발생된 열, 수증기, 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 쾌적한 환경조성에 필요한 적절한 기류
3. 환기의 종류
일반적으로 환기방식은 자연환기, 기계환기, 국부환기로 구분할 수 있다.
가.자연환기
자연환기에는 창문이나 벽체의 틈새로 외기가 스며드는 침기의 원인으로 바람의 압력(풍압)과 실내의 온도차(부력 및 굴뚝효과)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특히, 풍압과 굴뚝효과 압력이 동시에 작용할 때 건물부위에서의 압력차는 지표면에서 가장 크며, 상부로 올라갈수록 적어지며 최상단에서는 제로(0)가 된다. 즉, 침기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같은 크기, 같은 모양의 부위면의 틈새 또는 개구부라 할지라도 지표면에 가까운 하단부에 위치한 곳에서는 가장 크며, 상부로 올라갈수록 그 양이 적어지게 된다. 바람의 유입구의 풍압계수가 C1, 유출구의 풍압계수가 C2 일 때, 환기량 Q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나.기계환기
기계환기에는 기계장치인 Fan을 이용하여 급배기, 급기 및 배기를 실시하는 것으로 1종(병용), 2종(압입) 및 3종(흡출)으로 구분된다.
제1종 환기 : 송풍기와 배풍기 모두를 사용해서 실내의 환기를 행하는 것이며, 실내외의 압력차를 조정할 수 있고, 가장 우수한 환기를 행할 수 있다.
제2종 환기 : 송풍기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실내로 송풍하고 배기는 배기구 및 틈새 등으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송풍공기 이외의 외기, 기타 침입공기는 없지만, 역으로 다른 실로 배기가 침입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만 한다. 공장에 있어서 신선한 청정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많이 이용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