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와 도시공간구성
- 최초 등록일
- 2019.07.15
- 최종 저작일
- 2018.0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풍수지리의 이론 체계와 기본사상
2) 지세에 의한 기운
3) 음양오행사상
4) 풍수지리의 이론적 바탕
5) 사신사
6) 사신사의 생기
7) 사신사의 길이와 거리가 미치는 영향
8) 음택풍수
9) 세계적 명당 서울의 건축물들
10) 사방 혈의 중심점과 천심십도의 정혈점
11) 전통풍수의 허와 실, 현대의 풍수
3. 출처
4. 결론
본문내용
예부터 바람과 물은 집이 들어서는데 가장 중요한 조건이었다. 사람이 살기에 적당한 바람이 불고, 깨끗하고 마실 수 있는 물이 풍부한 지역을 말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주거지를 선택할 때 바람과 물을 따지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나라 정치·사회·문화 등 여러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궁궐이나 사대문처럼 명당에 꼽히는 건물들도 많다. 그리고 사람의 활동에도 영향을 많이 미쳤다고 한다. 뒤에 있을 본론에서는 풍수지리의 사상과 기초에 대해서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명당의 위치에 속하는 건물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1. 풍수지리의 이론 체계와 기본사상
풍수지리 이론은 크게 음핵과 안택으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음핵은 죽은 사람의 주택, 곧 산소 자리에 대한 이론이고, 안택은 살아있는 사람이 살고 있는 주택이나 건물 그리고 도시 등에 대한 이론을 말한다. 풍수지리의 이론은 음핵이나 안택을 할 때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공간의 기운을 분석하는 작업에서 출발한다.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기운은 크게 자연적 기운과 인위적 기운으로 구분된다. 자연적 기운이란 산이나 강, 방위 등 자연 지세에 따라 생기는 기운을 말한다. 인위적 기운이란 사람이 만든 공간에서 생기는 기운을 말한다. 건축물은 가장 대표적인 인위적 공간이다. 자연적 공간의 기운과 건축물에 의한 기운은 서로 다르다. 자연적 기운은 곧 지세는 좋아도 형태가 좋지 못한 건축물에서는 명당의 기운이 완전하게 발생되지 못한다. 결국 사람에게 가장 좋은 공간은 자연적 명당 지세에 명당형태로 지어진 건축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경복궁 사진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170000,11
초시대 풍수지리, 최재운,배영희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박시익, 일빛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