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2019 1학기 조선대 환경과웰빙 인강과제입니다.
- 최초 등록일
- 2019.07.02
- 최종 저작일
- 2019.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대한민국
2. 미국
3. 중국
4. 일본
5. 인도
6. 출처
본문내용
① 대한민국
- 중장기 로드맵
2008년 한국인 최초 우주인 이소연을 배출하고 나로호 발사 성공에 이어 국가우주위원회가 2020년 독자적 한국형 발사체를 이용한 달탐사를 목적으로 로드맵을 구성했다. 또 위성 탑재체에 대한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중궤도와 정지궤도위성을 개발한다는 위성개발의 중장기 계획도 밝혔다.
- 2019년 우주개발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올해 3월 배포한 내용에 따르면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6대 전략에 5813억 원을 투자 예정에 있다. 6대 전략으로는 우주 발사체 기술 자립, 인공위성 활용 서비스 및 개발 고도화·다양화, 우주탐사 및 우주감시,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 우주혁신 생태계 조성, 우주산업 육성과 우주일자리 창출이 있다. 목적은 정부 주도의 위성개발을 산업체 민간 중심 위성개발 체제로의 완전 전환으로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를 강화하는 것에 있다.
- 대한민국에 우주개발이 끼치는 영향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가장 인지도 있는 우주개발 프로젝트는 나로호발사이다. 발사 전에 ‘우주개발에 더 많이 투자해야한다’는 의견이 14.3%에 불과했던 반면 나로호 발사이후로는 25.5%로 증가하였다.
참고 자료
대한민국 과학기술부 2019 우주개발 보도자료
국가별 달탐사 : https://www.mk.co.kr/news/it/view/2019/05/290215/
최남미 항공우주연구원의 <우주개발의 현황과 미래방향>
정서영 <세계정부 우주개발의 국가별 분야별 동향 분석> :
https://www.kari.re.kr/download/viewer/1549751572326/index.html
중국의 우주정거장 : https://news.joins.com/article/20844509
민간기업 우주개발 등장 https://www.segye.com/newsView/20160103001409
국내 발사체의 역사 https://www.mk.co.kr/news/it/view/2018/10/669807/
황진영의 미국의 우주정책과 한-미 우주협력
트럼프 우주군 https://www.voakorea.com/a/470734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