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Endotracheal Intubation : 기관내 삽관1) 목적
2) 준비물품 및 방법
3) 합병증
4) 간호
2. Tracheostomy : 기관절개술
1) 목적
2) 준비물품 및 방법
3) 합병증
4) 간호
3.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적 환기)
1) 목적
2) 적응증
3) 간호(고압경보와 저압경보 시 간호 포함)
4) 합병증
5) weaning의 지침
4. Mechanical Ventilation의 형태 : 각각의 특징 및 장, 단점
1) CMV(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 강제조절환기
2) ACV(Assist-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 보조조절환기
3) SIMV(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 동시성 간헐 강제환기
4) PSV(Pressure support ventilation) - 압력지지 환기
5)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지속성 기도양압
6) PEEP(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 호기말 양압
5. 산소요법
1) 목적
2) 종류 및 간호
6. 혈류역학모니터
1) Central venous pressure monitoring
2) Swan - ganz catheter monitoring
7. 심전도(Electrocardiogram)
1) 정의
2) 방법
3) 목적
4) 자극 전도계 순서
5) 기본 파형과 정상 간격
6) 심박동수 측정 방법
8. 부정맥환자의 관리
1) Cardioversion 심장리듬전환술
2) Defibrilation 제세동
3) Artificial pacemaker 인공심박동기
9. ICP(Intracranial Pressure) Monitor 와 IICP 상승 환자 간호
1) 두개내압 감시 방법과 종류
2) 두개내압 상승 환자 간호
10. 무의식 환자 간호
1) 기도유지와 환기
2) 수분과 영양 균형 유지
3) 정상적인 구강점막 유지
4) 피부통합성 유지
5) 각막의 통합성 유지
6) 체온조절
7) 배뇨와 배변 기능 증진
8) 감각 지각의 자극 촉진
9) 안전 유지
10) 가족지지
본문내용
1) Endotracheal Intubation : 기관내 삽관- 목적
➊ 마취, 투약, 의식저하로 인해 호흡근육 반사작용이 저하된 대상자의 단기간기도를 유지하기 위함.
➋ 기도 내 분비물을 흡인하기 위함
➌ 인공호흡기 치료로 산소와의 환기를 증진시키기 위함
➍ 일부약물의 투여경로
<중 략>
3)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적 환기)
- 목적
➊ 적절한 oxygenation 유지와 CO2 배출
➋ 정확한 FiO₂의 투여
➌ 정상호흡의 조기회복을 위해 환자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
- 적응증
: 장기간 활동적으로 환기를 유지할 수 없으며 다른 산소 운반기구의 보조를 통한 자발적인 호흡만으로는 산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되며 각종원인으로 유발된 저산소증, 알칼리혈증, 심혈증의 교정에 사용
저산소성 호흡부전 - FiO2 > 0.6 SaO2 < 90%일 때
고탄산성 호흡부전 - 급성 고탄산성 호흡부전 : PaCO2 > 50 mmHg & pH < 7.30
- 만성 고탄산성 호흡부전 : ABGA와 임상증상으로 판단
- 간호(고압경보와 저압경보 시 간호 포함)
① 분비물 흡인, 100%가습
② 인공호흡기의 연결이 대상자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예방
③ 경보기는 항상 켜둔다.
④ Ambubag을 항상 침상 옆에 둔다.
⑤ 고압경보 시 분비물 증가로 인한 경보로 흡인 필요를 의미
⑥ 저압경보 시 인공호흡기의 회로 분리나 누출, 인공기도 cuff에서 누출 있음을 의미
⑦ 매 시간 마다 점검
⑧ 1회 호흡량, 호흡수, 그리고 다른 지수를 지시대로 맞춘다.
⑨ 호흡기 연결튜브에 물이 고여 있으면 연결부위를 풀고 물을 비워준다.
⑩ 대상자의 저산소증, 고탄산증, 저탄산증을 관찰하고 규칙적인 간격으로 동맥혈 가스분석을 한다.
⑪ 혈액가스치 특히 FiO₂, IMV 또는 PEEP을 감소시킬 때 중요
⑫ 폐음을 청진하여 활력징후를 주의깊게 관찰
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심정지 환자의 간호관리 15페이지
심폐소생술ACLS, Defibrillator와 Cardioversion의 목적, 적응증 및 차이점 6페이지
전문심장소생술 (ACLS) 19페이지
CPR conference 29페이지
중환자실에서의 전문심장소생술(ACLS) 3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