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절반은 왜 굶주리는가 요약
- 최초 등록일
- 2019.06.18
- 최종 저작일
- 2019.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10,000원
- 100 page
- PDF 파일
- 상세 보기
목차
1.일상풍경이 된 굶주림
2.8억 5000만의 굶주리는 사람들
3.기아는 자연도태? 아니면 어쩔 수 없는 운명?
4.문제가 집중되는 나라, 소말리아
5.생명을 선별하다
6.긴급구호로 문제해결?
7.부자들의 쓰레기는 가난한 사람들의 먹을거리
8.이름도 없는 작은이들의 무덤
9.자금부족으로 고민하는 국제기구
10.소는 배를 채우고, 사람은 굶는다?
11.시작가격의 이면
12.세계에서 식량을 가장 쓸모없게 만드는 남자
13.기아에 관해 가르치지 않는 학교
14.설상가상의 전쟁
15.무기로 변한 기아
16.기아를 악용하는 국제기업
17.국가 테러의 도구가 된 기아
18.사막화로 인한 환경난민
19.삼림 파괴
20.사막화 대처에 430억 달러?
본문내용
1)일상풍경이 된 굶주림
글쓴이의 나라에는 먹을 것이 넘쳐서 비만과 음식 쓰레기를 걱정한다. 하지만 아프리카,아시아등 많은 나라의 아이들이 굶어 죽는 일이 발생한다. 많은 지역 중 언론에서 보도중인 소말리아에서의 참상은 우리에게 평범한 일이 되고 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장면은 극히 일부 인데 왜냐하면 서방 언론의 카메라들이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에티오피아의 오가덴에 세워져 있기 때문이다. 소말리아의 문제는 10년 넘게 제대로 된 정부수립이 없었고 서로 적대적인 군벌들이 대립하고 군벌들은 자신의 권력과 부를 독점하는 데 급급하다. 기근이 심한 남부에는 메르카라는 작은 항구가 있는데 거듭된 전투로 파괴된 상태이다. 그래서 국제구호단체의 화물선은 소형 증기선을 이용해야 한다. 지원되는 식량은 턱없이 부족하지만 부두에 무장한 남자들이 자신들의 몫을 요구하고 그 식량을 북부시장에 판매한다. 멀지 않은 곳에 모가디슈 항이 있지만 군벌들의 전투에 의해 폐쇄 상태에 있다.
2)8억 5000만의 굶주리는 사람들
유엔 식량농업기구라는 조직에서 기아에 피해에 대해 조사한 결과 1990년에는 8억 2200만 명 1999년 8억 2800만 명이 기아로 피해 받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2005년에는 8억 5000만). 이런 수치의 해석으로 첫째 기아로 사망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둘째 영양실조를 앓고 있는 사람의 수가 인구 증과율과 비교했을 때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굶어 죽는 지역의 사람들의 인구순 퍼센트 순으로는 아프리카 35% 동남아시아 18%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 해 지역 약14% 가 굶주리고 있다. ‘심각한 영양실조’ 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3/4는 농촌 지역 사람들 나머지는 제3세계 대도시와 빈민촌 사람들이다. 퍼센트 상으로는 아프리카가 높지만 숫자로 따지면 아시아에 기아 인구가 더 많다 동유럽 나라들과 옛 소비에트 연방에서 독립한 나라들도 기아문제가 있다. 부유한 나라도 굶주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예로 러시아와 콩고 등이 있다.
3)기아는 자연도태? 아니면 어쩔 수 없는 운명?산업혁명 이후 ‘물질적인 결핍’이 사라지게 되었지만 기아문제는 아직 해소되지 못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