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연구의 동향과 역사교육
- 최초 등록일
- 2019.06.17
- 최종 저작일
- 2015.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700원

판매자Report113 (본인인증회원)

목차
1. 현대 역사학과 역사교육
1) 유럽 현대사학
2) 중국과 한국의 현대사학
3) 현대 역사학과 역사교육
2. 포스트모던 역사학과 역사교육
1) 포스트모던 역사학
2) 포스트모던 역사교육
본문내용
3. 현대 역사학과 역사교육
1) 유럽 현대사학
(1) 현재주의 역사인식
① 20세기 역사학은 랑케의 근대적 역사관에서 탈피하기 시작함
- 과거의 사실은 역사가의 주관적인 인식에 의해 해석된다는 주장이 제기됨
② 학자
ㄱ.딜타이
-역사가는 정신의 세례를 통해 과거를 대변하는 존재
-자연과학의 연구 방법과 분리하여 역사학을 ‘정신과학’으로 명명
- ‘이해’를 통해 과거의 역사 속에 내재하고 있는 ‘의미’ 파악
→ 역사가는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더 풍부하게 할 필요가 있음
ㄴ.크로체
-역사를 유일의 실재인 정신이 표현된 최상의 형식으로 봄
= 모든 역사는 '사상의 역사' → 19세기 연대기 같은 문헌학적 역사는 즉, 죽은 역사
-역사의 현재성 강조 = “모든 역사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현재의 관점에서 쓰인 현재적 역사”라고 봄
ㄷ.콜링우드
-역사가가 자신이 속한 시대, 즉 현재의 사상을 대변한다는 의미에서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가 됨
-재연(reenactment) : 과거 행위자의 사상을 재사고 하는 것이며 행위 주체의 동기, 심리, 목적 등을 이해하는 방법
<중 략>
ㄹ.제임스 로빈슨
-역사가의 역사인식의 기점은 현재이며 역사 서술의 출발점은 역사가의 현재 인식이라 고 봄
-현재의 사회적·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역사 지식을 강조하면서 역사의 효용성을 중시
-역사의 본질은 변화이기에 역사가는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면서 변화하는 과정에 주목 해야 함
ㅁ.카를 베커
-역사가 = 이야기를 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존재
-역사 = 현재 사람들이 그들의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이야기
→‘모든 사람은 각자가 제 나름의 역사가’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