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근경색.(MI : myocarial infarcation) 보고서 - 간호비판. 문헌고찰
- 최초 등록일
- 2019.06.16
- 최종 저작일
- 2018.07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판매자2bui****
2회 판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및 검사
5.치료
6.경과 및 합병증
7.간호
8.예방
Ⅲ. 결론
본문내용
지난 주말 2018.09.29.일자로 거주지 주변에서 40대 경찰관이 출근길에 갑자기 사망하였다는 기사를 접했다. 정확한 사인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급성 심근경색이 사인으로 추정된다는 기사였다.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발생이 증가하는 질환이 있다. 급성심근경색이 바로 대표적인 예이다. 최근 한국에서도 서구화된 식습관과 흡연, 스트레스 등의 이유로 AMI 환자가 꾸준하게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망률 역시 증가하고 있다. AMI 환자는 과거 중년이 대다수를 차지했지만 최근에는 20대와 30대의 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모든 성인 연령이 주의를 기울여야하는 질병이 됐다. AMI 환자는 응급환자로 분류 된다. 응급환자는 무엇보다 초기 사정과 신속한 진료가 중요하다. 단 몇 분 차이일 지라도 그것이 향후 환자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응급환자에 대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질병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고 진단, 검사, 치료 그리고 간호에 대하여 숙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기사를 보고 급성심근경색에 대해서 떠올려 보았다. 어렴풋이 떠오르긴 하지만 정확하게 알고 있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었고 급성심근경색의 간호에 관심이 생겼다.
본 글에서는 AMI(급성심근경색)의 정의와 병태생리, 임상적인 증상과 함께 진단과 검사방법 그리고 치료방법에 대해서 살펴본 뒤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예방 방법과 급성심근경색에 대한 간호에 대해 알아 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AMI와 그에 대한 간호, 그리고 본 과제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끝으로 이 글을 맺을 것이다.
1.정의
관상 동맥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여 심장이 온몸으로 혈액을 보내게 하는 기능을 유지하게 한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협심증과 달리 심장근육을 먹여 살리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완전히 막혀서 심장근육이 죽어 가는 질환이다. 발생 직후 병원에 도착하기 이전에 환자의 1/3은 사망하게 되며, 병원에 도착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더라도 사망률이 5~10%에 이르는 무서운 질환이다.
참고 자료
2014.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시뮬레이션기반 간호 교육의 효과. 박영신. 우석대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급성심근경색 간호대상자의 증상, 증상반응 요인, 치료추구시간 간의 관계. 정효지. 이화여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성인간호학Ⅰ. 고자경 외. 2017. Pacific books
성인간호학. 서문자 외. 1997년. 수문사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서문옥 외. 1988년. 수문사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 Sigma Theta 외 1998년. 현문사
서울 아산병원 의료정보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11
삼성 서울병원 질환백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
남양주서 40대 경찰관 출근길 사망…급성 심근경색 추정 ”. 2018/09/30. 경기일보.
http://www.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524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