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영화 1장~4장
- 최초 등록일
- 2019.06.15
- 최종 저작일
- 2018.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부 요동치는 국경, 모자이크 제국을 낳다.
본문내용
역사의 증인, 브라덴부르크 문
브란덴부르크 문은 베를린 장벽의 상징이며, 동서로 분단된 세상의 상징이다. 독일의 두가지 이념의 분열을 의미하며 잃어버린 자유를 상징한다. 하지만 이 문 자체는 되찾은 자유를 의미하는 위대한 상징이다. 브란덴부르크 문은 독일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자유와 통일을 가리는 기념비이다. 이곳은 베를린의 수많은 관문 중 하나가 있었고, 베를린으로 들어오는 화물 마차는 관세를 내고 이곳을 통과했다. 베를린에는 거대한 도서관과 오페라 하우스 같은 시설도 많았지만 , 브란덴부르크 문은 베를린이 문화적, 학문적으로 아테네의 전통을 따르는 자랑스러운 도시임을 상징하는 최고의 건물중 하나이다. 브란덴부르크 문은 파리의 샹젤리제 거리처럼 시 외곽에서 시내중심으로 이어진 운터 덴 리덴 거리 서쪽에 있다. 베를린 궁전이 조망을 가로막고 서있었지만 완공되고 얼마지나 청동으로 주조한 사두 전차를 탄 승리의 여신상이 꼭대기에 우뚝 서며 브란덴부르크 문은 비로소 브란덴부르크 문은 개선문 다운 모습을 갖추었다. 이 문을 통과해 개선 행진한 인물을 프로이센의 왕이 아니라 나폴레옹이였다.1805년 오스트리아가 아우스터러츠 전투에서 패배한 이후 침략자에게 만만찮은 저항한 독일 국기는 프로이센이 유일했다. 하지만 다음해 10월 14일 프로이센 군대는 예난 아우에르슈테트 전투에서 나폴레옹에게 패배를 당했고, 2주후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은 베를린으로 개선 행진하였다.
나폴레옹은 브란덴부르크 문 꼭대기의 청동 사두 전차상을 파리로 가져가 전리품으로 전시했다. 프로이센의 왕은 무력하다는 사실을 과시하기 위한 전승 기념품이었다. 쾨니히스베르크로 피신한 프로이센의 왕과 왕실 고문들은 상황을 정비하였고, 아침내 프로이센은 러시와 군대와 베를린에서 나폴레옹과 그 군대를 몰아내고 파리까지 추격했다. 그리고 다시 돌아온 사두 전차상은 약간의 수정을 거쳐 다시 브란덴부르크 문 꼭대기에 올려졌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