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훈몽자회,국문연구의정안,한글맞춤법통일안,남북한의 자모 명칭
- 최초 등록일
- 2019.06.13
- 최종 저작일
- 2019.06
- 30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000원2,400원 
판매자rla******* (본인인증회원)
목차
Ⅰ. <훈민정음> 과 <훈몽자회>
1. 훈민정음
2. 훈몽자회
Ⅱ. <국문연구의정안>과 그 외
Ⅲ. <한글맞춤법통일안>부터 현재까지
1. 조선총독부의 『언문철자법』, 1930
2. 조선어학회의 『한글마춤법통일안』 , 1933
3. 한글맞춤법
4. 현행 자모 명칭의 문제점
Ⅳ. 남북한의 자모 명칭 비교
1. 문화어(북한어)의 자모 순서와 명칭
2. 남한어와 북한어의 자모 차이
본문내용
- 초성과 종성으로 두루 쓰이는 8자. ㄱ을 지칭하는 其役에서 其은 ㄱ이 초성에 쓰일 때의 발음을, 役은 ㄱ이 종성에 쓰일 때의 발음을 나타냄. (나머지 7개도 마찬가지의 방법. 단, ㄷ의 末는‘말’이라는 음을 읽지 않고‘귿’이라는 뜻을 읽어야 하며, ㅅ의 衣 역시‘의’라는 음을 읽지 않고‘옷’이라는 뜻을 읽어야 함. 또, ㄷ의 池가‘지’가 아닌‘디’로 읽힌 것은 당시 구개음화가 일어나기 전이었기 때문.)
참고 자료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http://www.korean.go.kr/
네이버 지식백과 ‘한글 맞춤법’
『훈민정음 창제와 연구사』, 강신항
<한글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 왕문용
<한국어 한글 표기법의 변천>, 리의도
<한글 자모의 명칭과 순서에 대한 연구>, 유형선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국어사정,「조선말 규범집」,평양 : 사회과학원출판사, 1987.
한글학회, 「한글맞춤법통일안」, 서울 : 한글학회,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