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심근경색 케이스스터디 A+ 자료 (간호진단 3개포함)
- 최초 등록일
- 2019.06.04
- 최종 저작일
- 2019.05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심근경색 케이스 에이쁠 자료입니다. 간호진단3개 있습니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MI)
Ⅲ. 자료수집
1. 환자 정보
2. 병력 기록
3. 간호 기록
4. 진단적 검사
5. 임상병리검사
6. 투여 약물
7. 응급환자의 처치 현황
Ⅳ.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정의
급성 심근경색증은 협심증과 달리 심장근육을 먹여 살리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완전히 막혀서 심장근육이 죽어 가는 질환입니다. 발생 직후 병원에 도착하기 이전에 환자의 1/3은 사망하게 되며, 병원에 도착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더라도 사망률이 5~10%에 이르는 무서운 질환입니다.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을 혈전이라는 피떡이 갑자기 막으면 심장근육으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발생합니다.
2. 병태생리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게 되면 이를 둘러싸는 섬유성막(fibrous cap)이 생기게 됩니다. 어떤 이유로든 이러한 섬유성막이 갑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로 노출되게 되고 이곳에 갑작스럽게 혈액이 뭉쳐서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게 되는 것입니다. 관상동맥이 막힘으로써 그 혈관이 공급하는 심장 근육이 손상을 입는 상태를 말합니다. 산소 공급이 중단되면 수 분 내지 수 십분 이내에 심장 근육 세포는 괴사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런 혈액 공급의 중단은 흉통과 심장 수축 기능의 저하, 부정맥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즉각적이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심근경색의 위험인자
고령, 흡연, 고혈압(혈압≥140/90mmHg 혹은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당뇨병, 가족력(부모 형제 중 남자 55세 이하, 여자 65세 이하의 연령에서 허혈성 심질환을 앓은 경우), 그 외 비만, 운동 부족 등
4. 증상
① 흉통
심근경색증은 50% 이상 환자에서는 평소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갑작스럽게 발생하므로 평소에 나름대로의 예방법 혹은 건강검진을 하더라도 발견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심근경색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심근경색증이 발생하게 되면 우선 격심한 가슴통증이 발생합니다. 이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심근경색
세브란스심장혈관병원> 급성심근경색증
퍼시픽 학술 편찬국, 성인간호학, 심근경색
약물정보- 드러그인포(Drug info)
가천대학교 길병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