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의 이상,통합교육,장애인 특수교육법,장애아동 사회적태도,분리교육 장애아동
- 최초 등록일
- 2019.06.03
- 최종 저작일
- 2019.06
- 22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000원1,600원 
판매자wjd******* (본인인증회원)
목차
1. 개념 및 시행 취지
2. 현황 및 문제점
3. 외국 사례
4. 토론
본문내용
1. 개념 및 시행 취지
‘통합교육’
→특수 아동을 일반아동과 함께 일반학급에 배치시켜 특수교육을 제공받도록 하는 것
1)교수시간(시간적 통합)
2)교육받는 장소(공간적 통합)
3)교수내용(교육과정 통합)
4)일반학급에서의 사회적 접촉(사회적 통합)
단순히 장애아동을 정상환경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아동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가능한 최대한으로 비 장애아동과 같은 환경에 있는 것
통합은 교수시간(시간적 통합), 교육받는 장소(공간적 통합), 교수내용(교육과정 통합) 일반학급에서의 사회적 접촉(사회적 통합)을 포괄
통합교육의 당위성
사회-윤리적
법적
교육 성과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은 법적, 사회-윤리적, 교육 성과적인 세 가지 측면에서 그 당위성을 제시 할 수 있다
법적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 1장 총칙
제1조(목적) : 이 법은「교육기본법」제18조에 따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장애인 및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사람에게 통합된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장애유형 ·장애정도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을 실시하여 이들이 자아실현과 사회통합을 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