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 CASE STUDY, 안정형 협심증
- 최초 등록일
- 2019.05.23
- 최종 저작일
- 2018.10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간호과정 3개,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이 탄탄해서
교수님께 A+ 받은 자료입니다
진단1. 심근의 비효율적인 산소공급과 관련된 급성통증
진단2. 혈관 기능 저하와 관련된 심장조직 관류 감소의 위험
진단3. 질환으로 인한 통증과 관련된 불안
목차
1. 문헌고찰
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
2) 질환의 병태생리
3) 질환과 관련된 증상
4) 질환과 관련된 진단
5) 질환과 관련된 의학적 치료
6) 질환과 관련된 간호학적 중재
2.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1) 대상자 병력
2) 간호 사정
3. 환자 기록
1) 대상자가 사용하는 약물
2)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와 결과
3) 특수치료 및 처치
4. 간호과정
본문내용
문헌고찰
1.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
① 위치
- 종격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 가로막 위에 심첨이 앞쪽을 향하며 2-5번째 늑간사이 위치.
② 크기 및 무게
- 길이 약 12.5cm, 폭 7.5cm,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성인의 주먹 크기.
③ 구조
- 심낭 : 장측 심낭과 벽측 심낭으로 구성되어 이중벽으로 심장을 둘러싸서 보호함.
- 심방과 심실 : 좌, 우로 각각 하나씩의 심방과 심실을 가지며 심방은 혈액을 받아들이고 심실은 밖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곳이다.
- 판막 : 방실판막(삼첨판막, 승모판막), 반월판막(폐동맥판막, 대동맥판막)으로 구성되며 삼첨판막은 우심방과 우심실사이, 승모판막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하고 폐동맥판막은 우심실과 폐동맥사이, 대동맥판막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함.
- 관상동맥
좌전방하행(left anterior descending, LAD) : 심근으로 가는 혈액의 85% 공급
좌회선동맥(circumflex coronary artery, LCX,CCA) : 좌심방과 좌심실 혈액공급.
우관상동맥(right coronary artery, RCA) : 우심실과 동방결절에 혈액공급
2. 질환의 병태생리
관상동맥질환은 죽상경화증, 동맥경화증, 관상동맥의 동맥염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태를 포함하며, 이것은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혈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관상동맥 질환의 주요 원인은 죽상경화증이다. 이는 1차적으로 동맥내벽에 지질 및 콜레스테롤이 침착되어 일어난다.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은 죽상경화증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다. 지질대사의 이상이나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의 지나친 섭취는 죽상경화증의 진행을 촉진한다. 죽상경화증은 지방층, 평활근육 증식으로 인한 섬유성 융기, 병소의 합병 3단계로 진행된다.
3. 질환과 관련된 증상
가장 중요한 증상은 흉통이다. 통증의 양상은 조이는 느낌, 타는 듯한 느낌, 압박감, 상복부 불편감 등으로 나타난다. 협심증의 통증은 흉골 하부에서 시작되며 왼쪽팔로 방사된다. 운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나며, 니트로글리세린을 복용하거나 휴식을 취하면 완화된다.
참고 자료
전국대학병원. (2005). 임상간호의 핵심II. 서울: 한우리
Patrick Davey. (2010). 한눈에 알 수 있는 ECG. 서울: 이퍼블릭
김근순, 김영숙, 최경옥. (2012). 성인간호학I. 서울: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1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최은진, 신민호, 강원유. (2012). 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c-반응성 단백질 (CRP)농도의증가. 대한내과학회지, 82(1):4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