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성인 케이스 과제 (MI, 심근경색) 교수님께 칭찬받은 A+자료입니다. (간호진단 4개)
- 최초 등록일
- 2019.05.21
- 최종 저작일
- 2018.10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임상증상
(4) 진단
(5) 치료
Ⅱ. 본론
1. 자료수집(Data Collection)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정리
※비판적 사고 훈련
본문내용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갑작스런 죽음. 돌연사. 돌연사란 글자 그대로 건강하게 잘 지내던 사람이 아무 이유 없이 하루아침에 갑자기 숨지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평소 겉으로 보기에는 건강하던 사람이 심장병의 유무와 상관없이 증상 발생 후 1시간 안에 예기치 않은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를 급사 또는 돌연사라고 정의한다. 돌연사의 원인은 무수히 많다. 하지만 그 중에서 동맥경화성 혈관질환인 심장병, 즉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이 가장 흔하면서도 중요한 원인 질환이다.
심근경색증은 미국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이며, 매년 529,000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매년 약 110만 명의 미국인에게 심근경색증이 발병한다. 29초당 한 명의 미국인이 심근경색증을 경험하며, 거의 1분마다 심근경색증으로 사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현재에 이르러서 1950년대의 미국과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 통계청의 사망원인 결과보고에 의하면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자의 비율이 2003년 35.3%에서 2013년 50.2%로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더욱 큰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 그 당시 심장병에 대해서 예방 의학적인 측면에서의 투자나 교육이 전무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 2013년 심근경색진단을 받은 환자의 수가 26.308명에 달하면서, 국민들과 의료계의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 꾸준히 심근경색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맞추어 예비간호인으로서 심근경색에 대해 더 심도 깊게 알아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1) 정의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 AMI)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상태는 관상혈류가 감소되고 심근에 혈액공급이 부적절하여 심근세포의 허혈상태가 진행되었을 때 초래된다.
참고 자료
https://www.druginfo.co.kr - 드럭인포
http://www.kimsonline.co.kr/ - 킴스온라인
차영남 외 13 공저. (2013). NANDA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현문사
손덕옥, 김기련, 김혜정 공저 (2018). 2018성인간호학Ⅰ 현장중심 실습지침서. 파주: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