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으로서 특수교육
- 최초 등록일
- 2019.05.18
- 최종 저작일
- 2019.03
- 11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목차
1. 서론
1) 특수아동 및 특수교육
2) 특수교육의 전사(pre-history)
2. 본론
1) 특수교육 탄생의 역사적배경
2) 르네상스
3) 종교개혁운동
4) 산업혁명의 영향
3. 결론
4. 나의 고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특수아동 및 특수교육
모든 아동은 신체적인 특성이나 학습능력이 서로 다르다. 대부분의 아동에게서 이러한 차이는 비교적 크지 않기 때문에 일반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교육적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특수아동의 신체적인 특성이나 학습능력은 규준과 매우 달라서 교육을 통해 충분히 혜택을 얻기 위해서는 특수교육의 개별화된 프로그램과 관련 서비스가 요구된다. 특수아동이라는 용어는 학습문제가 있는 아동은 물론 수행능력이 너무 뛰어나서 교육과정이나 교수방법을 수정할 필요가 있는 아동까지 포함되기도 한다. 따라서 특수 아동이란 학습장애아 또는 행동장애아, 지체장애아, 감각장애아 및 영재아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장애 아동이라는 용어는 영재아를 포함하지 않음으로 특수아동이라는 용어보다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이번 레포트에서 다룰 주제는 특수아동이라 하기 보다 장애아동이라는 표현이 걸맞다.
또한 특수교육은 개인의 차이와 요구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학생을 교육하는 관행이다. 이상적으로, 이과정은 개별적으로 계획되고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되는 교육 절차, 조정된 장비 및 자료, 접근 가능한 설정 등을 포함한다. 특수교육이 실행해지기 위해서는 특별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아동 각각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특수교육은 개별화프로그램을 통해 가르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수교육의 전사(pre-history)
진화론적 관점에서 볼 때 원시사회에서는 장애인을 살해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이 시대의 사회적 목적은 생존과 안정이었다. 장애인들은 자신이나 가족을 적으로부터 방어하기 어렵고, 생산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생존권을 인정받지 못했을 것이다. 서구 문명의 중심지인 그리스와 로마에서도 법적으로 공인되고 학적으로 뒷받침된 상태에서 장애인을 살해했다. 이러한 사상적 배경에는 부국강병책이 그 기저를 형성하고 있다.
참고 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D%8A%B9%EC%88%98%EA%B5%90%EC%9C%A1
http://alja.net/web/board.php?board=kkkdata&command=body&no=845&search=%EA%B0%9C%EB%B3%84%ED%99%94&shwhere=tbody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anse5&logNo=20034100642&categoryNo=7&proxyReferer=http%3A%2F%2Fwww.google.com%2Furl%3Fsa%3Dt%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web%26cd%3D1%26cad%3Drja%26uact%3D8%26ved%3D2ahUKEwjSwvvXoqThAhWxGaYKHSB2C3IQFjAAegQIBRAB%26url%3Dhttp%253A%252F%252Fm.blog.naver.com%252FPostView.nhn%253FblogId%253Dmanse5%2526logNo%253D20034100642%2526categoryNo%253D7%26usg%3DAOvVaw1G4Lh1ArNjr9kQ5hJYX2Dz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onaholic&logNo=100055170397&proxyReferer=http%3A%2F%2Fwww.google.com%2Furl%3Fsa%3Dt%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web%26cd%3D2%26cad%3Drja%26uact%3D8%26ved%3D2ahUKEwijlbeho6ThAhVMEqYKHRNnB60QFjABegQIBhAB%26url%3Dhttp%253A%252F%252Fm.blog.naver.com%252Fkonaholic%252F100055170397%26usg%3DAOvVaw3prFoYoJ1JfBs9NTotsq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