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S; Acute Coronary Syndrome
소개글
ACS ;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목차
1. 서론2. 병태생리
3. 전구증상
4. EKG
5. 진단
6. 약물치료
7. 관상동맥중재술
8. 퇴원 후 관리
본문내용
1. 서론ACS(acute coronary syndrome), 즉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은 심전도상 ST분절의 상승을 동반한 급성 심근경색증(STEMI, Q파 급성 심근경색증)과 ST분절의 상승을 동반하지 않는 급성 심근경색증(NSTEMI, 비Q파 급성 심근경색증), 그리고 불안정형 협심증, 이 세가지 질환을 지칭하는데, 이는 환자가 chest pain으로 내원하였을 때, 바로 구분을 할 수 없기에 먼저 그 상황을 지칭하고자 만들어진 용어라 생각하면 되겠다. 이들은 죽상반(atheromatous plaque)의 미란이나 파열과 그로 인한 혈소판의 활성화, 관상동맥 내 혈전의 형성이라는 공통된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가지는 질환군이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심전도 소견에 따라 ST분절상승 ACS (ST elevation ACS)와 비ST분절상승 ACS (non-ST elevation ACS, NSTE-ACS)로 분류한다. NSTE-ACS는 심근표지자가 상승하면 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non-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 정상 범위이면 불안정형협심증(unstable angina, UA)으로 분류하며, 허혈성 급사의 형태로 발현되기도 한다. ACS의 공통적인 치료원칙은 1) 발병 초기 급사 예방, 2) 항혈전제(항혈소판제, 항응고제), 3) 적절한 관상동맥중재술, 4) 위험인자 조절을 통한 이차예방 및 재활요법이다.
2. 병태생리
급성 허혈성 증후군 발생의 기본 병태 생리는 관상 동맥 내 존재하는 죽상반의 파열이다. 죽상반은 산성화된 저밀도 콜레스테롤과 대식세포로 구성되어 있는 지질 부분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결체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효소의 분해 작용과 관동맥에 가해지는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죽상반이 파열되고, 이로 인해 응고 촉진력을 가진 물질들이 혈류 내로 노출되게 된다. 대식세포의 침착과 침윤은 효소를 유리시켜 결과적으로 결체 조직의 콜라젠과 엘라스틴을 분해하는데...
<중 략>
참고 자료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의 진단과 치료],2017,전두수[급성 관동맥 증후군],1998,박승정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의 표준진료권고안],2012,박준빈
[관상동맥중재 표준진료 권고안],2013,대한심장학회
EKG - Myocardial Infarction (MI)|작성자 Sophi
[Roffi M, Patrono C, Collet JP, Mueller C, Valgimigli M, Andreotti F, Bax JJ, Borger MA, Brotons C, Chew DP, Gencer B, Hasenfuss G, Kjeldsen K, Lancellotti P, Landmesser U, Mehilli J, Mukherjee D, Storey RF, Windecker S, Baumgartner H, Gaemperli O, Achenbach S, Agewall S, Badimon L, Baigent C, Bueno H, Bugiardini R, Carerj S, Casselman F, Cuisset T, Erol C, Fitzsimons D, Halle M, Hamm C, Hildick-Smith D, Huber K, Iliodromitis E, James S, Lewis BS, Lip GY, Piepoli MF, Richter D, Rosemann T, Sechtem U, Steg PG, Vrints C, Luis Zamorano J. 2015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coronary syndromes in patients presenting without persistent ST-segment elevation: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cute coronary syndromes in patients presenting without persistent ST-segment elevat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Eur Heart J 2016
http://healtho.co.kr/html/m/news/news-view.html?f=read&code=1347949258&seq=17934&pages=7
http://sev.iseverance.com/heart/dept_clinic/treatment/cardiovascular/view.asp?con_no=71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