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순환기계 학습 리포트 / 케이스, 실습, 시험 참조자료
- 최초 등록일
- 2019.05.13
- 최종 저작일
- 2011.11
- 4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chahong (본인인증회원)
2회 판매

소개글
성인 순환기계 학습 리포트 / 케이스, 실습, 시험 참조자료입니다. 순환기에 대한 간호, 검사, 정의, 진단, 치료 등등 일종의 종합선물세트입니다. 실습이던 케이스던 해당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시면 큰 도움이 될겁니다.
목차
1.순환기계 병동
1) 주요 질환
2) 주요 검사
3) 주요환자 간호
4) 순환기계 주요 약물
2.암병동
1) 주요질환
2) 주요수술
3) 주요검사
4) 주요환자간호
5) 주요약물
본문내용
1. 순환기계 병동
1) 주요 질환
순환기계 질환
IHD (허혈성 심장질환)
정의: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죽상경화증을 포함하는 혈관장애로 인해 내강이 좁아짐으로써 심근이 필요로 하는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여 발생되는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병태생리:
- 죽상경화증과 허혈성 심장질환
동맥은 내막(혈액의 접촉면)과 중막(평활근), 외막(결체 조직층)의 3층으로 구성된다. 죽상경화증은 동맥내벽에 노폐물질 덩어리인 죽상반 혹은 죽종(atheromatous plaque)이 형성되어 혈관내강이 좁아진 상태이다. 관상동맥 내막이 위험요인에 의해 지속적인 손상이 가해지면 혈전에 대한 방어기능을 잃게 되어 혈소판과 지질축적(주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호모시스테인), 염증세포, 섬유세포 등이 부되어 죽상반이 형성된다. 죽상반이 점점 커지면서 혈관 평활근의 탄력성이 저하되고 동맥내강이 좁아져 혈액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면 심하면 혈관폐색이 일어난다. 임상적으로 심근, 뇌, 사지에 허혈증으로 나타난다.
- 호모시스테인과 허혈성 심질환
최근 관상동맥내 죽상반을 형성하고 있는 구성물질의 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소판 외에도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이라는 새로운 물질의 존재를 보고하면서 호모시스테인이 허혈성 심질환에 관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진단
건강력, 신체검진
흉부 X-선CHKFDUD
심전도
혈청효소검사(CK-MB, Troponin, myoglobin)
혈청지질검사
CRP
운동부하검사
핵의학검사
전자빔CT스캔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관상동맥 조영술
심초음파 검사
치료
① 약물요법
협심증 환자에게 사용되는 약물은 크게 항혈소판 제제, 질산염 제제, 교감신경 차단제, 칼슘길항제, Thronbim 억제제, 지질저하제 이다. 자세한 것은 순환기계 주요 약물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② 관상동맥중재술
관상동맥 중재술은 허혈성 심근에 혈류를 증가시켜 증상을 완하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방법이다. 관상동맥 중재술은 크게 내과적인 관혈적 중재술과 개흉술울 통한 외과적 중재술로 나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