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레포트] R, L, C 수동소자와 TTL IC
- 최초 등록일
- 2019.05.02
- 최종 저작일
- 2019.04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1. 실험에 관련된 이론
(1) 저항과 레지스턴스
(2) 커패시터와 커패시턴스
(3) 인덕터와 인던턴스
(4) TTL IC
(5) 회로구성
(6) 전원 공급 장비: ED-330
(7)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2. 실험회로 및 시뮬레이션결과
(1) 실험 5-1. 회로
(2) 유의사항
3. 실험 방법
(1) DC아날로그 회로: 주어진 회로 구성
(2) DC아날로그 회로: 임의로 설계한 회로
(3) 디지털 회로
본문내용
1. 실험에 관련된 이론
(1) 저항과 레지스턴스
저항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는 작용으로 물체에 전류가 통과하기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단위는 옴(Ω)을 사용하고 1Ω은 1V의 전압을 가한 때, 1A의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저항을 의미한다.
저항의 몸체에는 숫자로 저항 값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1W 이하의 저항은 대부분 색띠로 표시되어 있다. 오른쪽 끝 쪽의 띠는 정밀도를 나타낸다. 색상에 따른 저항값은 다음 표와 같다.
(2) 커패시터와 커패시턴스
커패시터는 콘덴서라고도 하며 전하를 축적하는 기능을 가진 소자로 정전 용량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부품이다. 금속으로 된 두 개의 도체판 양 표면에 모이는 전하량의 크기는 같지만 부호는 반대이다. 커패시터의 용량을 커패시턴스라고 하며, 기호는 C로 표시한다. 커패시턴스의 단위로는 페럿(F)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10㎌정도의 커패시터에 멀티미터를 저항측정 모드로 하여 접속하면 순간적으로 전류가 흘러 값이 나오고 0으로 된다.
커패시터 표면에 3자리의 숫자와 하나의 영문자가 표기되어 있는데, 앞의 2개 숫자가 유효숫자이며 세 번째 숫자가 지수, 그리고 영문자가 커패시터의 허용용량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102D”라는 값이 적혀있다면 “10”은 유효숫자이고 “2”는 지수이다. 이때 붙이는 단위는 pF이다. 한편 “D”는 허용오차를 나타내며, 각 문자가 의미하는 허용오차는 다음 표와 같다.
(3) 인덕터와 인던턴스
코일이라고도 하며 전류의 변화량에 비례해 전압을 유도함으로써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전자기유도현상이 일어나 기전력을 만든다. 인덕터의 기전력을 생성하는 정도를 인덕턴스라고 하며 기호는 L로 표시하고 단위로는 헨리가 사용된다. 각종 전자제품, 발진회로, 전원회로의 전류저장소자 등에서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막고, 전기 잡음을 걸러내는 필터 등으로 사용된다.
참고 자료
기계용어편찬회, 도해 기계용어사전, 일진사, 1990,
https://blog.naver.com/misoxosim/220556442277
민상원, 설계능력 향상을 위한 전기, 전자, 통신, 컴퓨터공학 기초전공실험, 홍릉과학출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