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소화기내과 병동 실습 자료
- 최초 등록일
- 2019.04.28
- 최종 저작일
- 2018.10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문헌고찰 보고서
1) 병태생리
2) 원인 및 임상적 증상
3) 진단적 검사
4) 치료적 중재술 및 주요 약물
5) 중재와 관련한 간호
6) 참고문헌
2. Case Study 보고서
1) 진단명
2) 일반정보
3) 신체검진
4) 임상검사 소견
5) Medication
6) 간호과정
본문내용
위암은 위의 표면 점막세포에서 발생하여 깊이 파고들고 심하면 위벽을 뚫고 복강 내로 퍼지게 된다. 대부분 위암이 위동 부위에서 발견되지만, 근위부 종양의 빈도도 증가하는 추세다.
위암은 선암이 90%를 차지하며 나머지 10%는 림프종이다. 위암은 조기위암과 진행성 위암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기위암: 조기 위암은 위암이 점막층과 점막하층 이내에 국한된 경우(T1기)이며, 신체검사를 받는 집단에서 흔히 발견된다. 위의 점막층에는 암이 다른 부위로 전이를 일으킬 수 있는 혈관이나 림프관 등 관상 구조물 이 없으므로 이 단계에서 수술하게 되면 완치가 가능하며 예후가 아주 좋다.
•진행성 위암: 암의 침윤이 점막하층을 지나 근육층 및 그 이상의 단계로 진행한 위암
위암은 위벽 내에서 퍼지는 것과 림프절을 따라 암세포가 퍼지는 것 이외에도 간이나 췌장, 결장 등의 인접장기로 직접퍼지거나, 혈류를 통하여 간, 폐, 뼈 및 기타 부위로 퍼질 수 있고 위벽이 뚫리면 난소를 비롯하여 어디에나 퍼질 수 있다.
<위암 병기>
위암의 병기기준은 세 가지가 있다.
T는 크기와 침범정도
T0은 종양의 증거가 없다.
T1은 종양이 위 벽의 점막층 혹은 점막하층까지 침범한 경우
T2은 종양이 근육층 혹은 장막하층까지 침범한 경우
T3은 종양이 장막층까지 침범하였으나 주위 장기의 침범이 없는 경우
T4은 종양이 장막층을 뚫고 나가 비장, 횡행결장, 간, 횡격막, 췌장, 복벽, 부신, 신장, 소장, 후복막 등 주위 장기를 침범한 경우이다.
N은 림파선 전이정도
N0은 위 주위 림프절 전이가 없다.
N1은 1개에서 6개까지 위 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N2은 7개에서 15개까지 위 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N3은 16개 이상의 위 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M은 전이유무
M0은 전이가 없는 것
M1은 전이가 있는 것
참고 자료
조경숙 외 (2014),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박지원 저 (2015), 성인간호학 1 , 수문사
퍼시픽북스 학술편찬국 저 (2010), 성인간호학 1 , 퍼시픽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위선암 [gastric adenocarcinom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