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pectoris)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19.04.25
- 최종 저작일
- 2019.03
- 3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2.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위험소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 방법
6) 치료
7) 간호(관련 간호진단 제시)
3.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의학적 치료 및 간호중재 내용
3)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및 제언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 인구가 사망하는 원인의 약 절반 정도가 암, 뇌혈관, 심장 질환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기름지고 콜레스테롤이 높은 음식위주의 식습관과 불규칙한 생활, 비만의 증가와
발달된 생활환경으로 심장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현재 협심증 고위험 집단이 늘고 있으며, 협심증은 심근경색으로 발전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예방이 더 중요해 지고 있으므로 이번 연구를 협심증 대상자로 하게 되었다.
2. 연구기간 및 방법
2019.03.18 ~ 2019.03.28. 까지 실시하였으며 광주보훈병원 72병동 입원하신 박○○님을 대상으로 환자와 보호자의 면담, 신체검진과 문진, 임상검사결과, 환자의 KARDEX, 환자와 관련된 의료인들과의 면담을 통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 하였다.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가역적인 심근세포 손상에 의한 심근 허혈의 결과이며, 갑작스런 흉통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증후군임
-협심증은 광상동맥 질환의 가장 흔한 형태
-angina는 질식이라는 희랍어에서 유래, pecroris는 흉부, 흉골 의미
-갑작스럽게 흉골 하부를 죄는 듯한 감각이 단시간 계속되는 상태
-안정형 협심증은 관상동맥 질환의 비교적 초기단계에서 볼 수 있음.
-신체적 노력이나 정서변화에 의해서 흉통이 발생하므로 노작형 협심증 (effort 또는 exertional angina)이라고도 함
-협심통의 발병 형태나 지속시간, 부위, 흉통의 강도 등이 비교적 안정된 형태를 취하는 전형적인 협심증.
참고 자료
김근순 외(2015). 성인간호학Ⅰ. 서울 : 수문사. p.751~763
김정혜 외(2017). 병리학 2판 서울 : 정담미디어. p.181
보훈병원 EMR
구글 https://www.google.co.kr (그림참조)
약학 정보원 http:// 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