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음암 케이스스터디, 외음암 case study, 여성간호학실습,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감염위험성, 급성통증, vulva cancer, vulva cancer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19.04.10
- 최종 저작일
- 2018.08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lsy48****
6회 판매

소개글
A+받은 자료입니다.
교수님께 칭찬받은 자료이니 믿고 사용하세요~!
간호과정 3개, 간호진단 3개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및 위험요인
3. 유형
4. 임상적 특징
5. 진단검사
6. 병기분류
7. 치료
8. 간호
9. 합병증
Ⅱ. 간호사정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정의
외음암(vulvar cancer)은 여성 생식암의 4%를 차지하며 드물게 발생하는 부인암으로 대부분 60대 중반에서 70대 여성에게 발생한다. 편평세포암이 외음암의 90%를 차지하는 반면, 흑색종, 선암, 기저세포암 및 육종은 아주 드물게 발생한다.
2.원인 및 위험요인
외음암의 위험요인은 식별되지 않고 있다. 외음 이상증(vulvar dystrophy)과 외음부 상피내종양과 침윤성 외음암 간의 관계는 아직 불분명하다. 만성 소양증은 침윤성 외음암이 있는 여성에게 중요한 전구 증상이다. 외음암은 비만, 고혈압, 당뇨 또는 미산부에게 좀 더 잘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최근의 외음암에 대한 연구는 이들 위험요인의 역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이차적 원발성 암은 대상자의 22%로 보고되고 있는데, 자궁경부, 질, 외음암 간의 관계는 공통의 병인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즉, HPV 감염이 주원인이며 성교 대상자가 여러명인 경우, 성기사마귀, 흡연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외음암은 매독과 비매독성의 육아종성 성병(nonluetic granulomatous venereal disease), 특히 성병성 림프육아종(lymphogranuloma venereum) 및 서혜육아종(granuloma inguinale, donovanosis)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실제로 외음암이 있는 여성의 약 5%에서 매독 혈청검사에서 양성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3. 유형
①편평세포암
→침윤성 외음암의 약 90~92%가 편평세포암으로 대부분의 외음세포암은 무정형 각질화를 보인다.
②악성흑색종
→외음의 악성흑색종은 외음암의 2위를 차지하나 드물다. 폐경 후기의 백인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며 주로 소음순이나 음핵에 생긴다. 흑색종의 예후는 예측하기 어려우나 전반적으로 좋지 않다. 5년간 생존율은 21.7~54%로 보고되고 있으며, 병소의 깊이가 1mm 이하일 때는 예후가 좋으나 깊어질수록 예후는 나쁘다.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학 Ⅱ, 2014, 박영주 외 공저 현문사
외음암[vulvar cancer]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삼성서울병원)
http://www.amc.seoul.kr(아산병원 의학용어, 아산병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외, 현문사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
Vulvar cancer: epidemiology, clinic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ptions]
Ibrahim Alkatout,1 Melanie Schubert,1 Nele Garbrecht,2 Marion Tina Weigel,1 Walter Jonat,1 Christoph Mundhenke,1 and Veronika Günther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