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주의력 결핍장애(ADHD)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5개
- 최초 등록일
- 2019.04.07
- 최종 저작일
- 2018.04
- 19페이지/
압축파일
- 가격 3,000원

목차
1. 서론
1) ADHD의 이론적 고찰
(1) 정의
(2) 원인
(3) 주증상
(4) 진단을 위한 검사
(5) 치료
2)대상자 선정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대상자 선정 이유
(3) 연구기간 및 방법
2. 본론
A.대상자 사정
B.간호과정
C.참고 문헌
D.실습 후기
본문내용
1) ADHD의 이론적 고찰
(1) 정의
ADHD는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는 장애로, 지속적으로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아동기 내내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이 지속되고, 일부의 경우 청소년기와 성인기가 되어서도 증상이 남게 됩니다.
(2) 원인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여러 가지 연구에 의해 몇 가지로 추정하고 있을 뿐입니다.
① 유전적요인
쌍둥이 연구에 의하면 일란성 쌍둥이에서의 일치율이 이란성 쌍둥이에서보다 높습니다.
또한 과다활동아의 형제자매 중 20~25%가 ADHD이며 또한 ADHD에 이환될 위험도가 일반인보다 3배나 많습니다. ADHD아동이 내원하게 되면 부모나 형제 중에 ADHD가 한명정도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보아 유전적인 경향이 있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② 발달적 요인
출생전이나 출생할 때 입었을 미세한 뇌손상이나 출생 후 고열, 감염, 독성물질, 대사장애나 외상으로 인한 뇌손상 때문이라는 추정이 있습니다. 과학의 발달에 따라 자기공명영상술(MRI) 검사결과 정상아들에 비해 전체 뇌용적과 소뇌용적이 의미있게 작았다는 보고가 있으며 전두엽과 측두엽의 크기도 또한 평균에 미치지 못한다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③ 신경 화학적 요인
서양의학에서는 ADHD아동들에게 중추신경흥분제를 주로 사용합니다.이 약물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중 도파민계의 기능을 항진시키는데 이 약물을 사용하면 주의력이 산만한 증상이나 과잉행동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근거로 ADHD가 도파민 기능계의 저하가 그 원인이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3) 주증상
주된 증상은 주의를 집중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매우 부산하여 잠시도 가만히 있지를 못하는 것입니다.
아동들은 정상적으로 어른에 비해 산만하고 분주한 경향이 있지만, 이 장애를 가진 아동은 학교나 가정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한 행동을 보입니다.
참고 자료
김영숙 외, 정신건강간호학, JMK
드러그 인포 www.druginfo.co.kr
토르스텐 하베너, 생각을 읽는다, 마일스톤
http://www.adhd.or.kr/
압축파일 내 파일목록
case study 주의력 결핍장애(ADHD).hwp
가족.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