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건강간호학 강동구보건소 지역사회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지역사회 간호사업
- 최초 등록일
- 2019.04.03
- 최종 저작일
- 2018.04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강동구보건소 실습을 하며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간호과정을 자세히 구상하였습니다.
강동구에 대해 상세히 조사하였으며, 지역사회 사업을 6개를 계획해보고 평가계획까지 손수 직접 계획하였기에 겹칠 일도 없어서 좋으실겁니다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역사회 간호사정
1) 지역사회 사정방법
2) 지리적 특성(Mapping)
3) 지역사회 인구구조
4) 지역사회 간호사정 요약자료
2. 지역사회 간호진단
1) 간호진단 제시
2) 간호문제 우선순위 결정
3. 지역사회 간호계획
1) 목표설정하기
2) 간호방법 및 수단선택
3) 사업수행 계획서
4) 사업계획 추진표
5) 평가계획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2018년 1월 2일부터 강동구 보건소에서 지역사회간호를 실습하면서 지역사회 간호과정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알고 지역사회(강동구)에 관한 자료를 조사하여 강동구가 가지고 있는 간호문제는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Ⅱ. 본론
- 지역사회 간호사정
1) 지역사회 사정방법
지역지도자 면담
-강동구 보건소에 근무하는 직원에게 강동구 의료보건 실태에 대해 질문
기존자료조사
-강동구청 홈페이지에 게시된 인구자료조사, 보건소 통계자료, 흡연율 통계, 비만율 통계, 당뇨, 고혈압 연간 진료율 통계자료 조사 등 여러 통계자료 조사 및 통계연보 자료 조사
2) 지리적 특성(Mapping)
24.59km²의 면적을 가지며 서울특별시의 남동부에 위치해있는 행정구역이다. 한강을 사이에 두고 북쪽은 경기 구리시, 서쪽은 광진구와 마주하고 남서쪽으로는 송파구, 남동쪽으로는 경기 하남시와 경계를 이룬다. 한강의 동쪽에 위치해서 강동이란 이름을 얻었다.
3) 지역사회 인구구조 (2016.12. 기준)
항아리형 인구구조로서 출생률과 사망률이 모두 낮으면서 출생률이 사망률보다 낮아 인구가 감소하는 유형으로 0~14세 인구가 50세 이상 인구의 2배가 되지 않으며 유소년층 비율이 낮고 청‧장년층 비중이 크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 자료
유광수 외 (2017). 지역사회간호학 Ⅰ 4판. 정담미디어
강동구 보건소 http://health.gangdong.go.kr/web/portal/hlt.do
강동구청 행정과공개 > 고시/공고 > 서울특별시 강동구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15~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