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게임산업의 방향-18p
- 최초 등록일
- 2019.03.29
- 최종 저작일
- 2019.03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게임산업의 방향
1-1. 게임 개발(HTML5 기반)
1) HTML5 기술 현황 및 발전 전망
2) 웹과 게임의 융합 : HTML5 기술
3) 국내 게임 업계 현황
4) 해외 주요 업계 현황
1-2. 키넥트
1) 윈도용 키넥트와 키넥트 SDK 1.5 소개
1-3. 게임정책 동향
1) 법, 제도 동향
1-4. 게임소비산업
1) 아이템 현금 거래 금액 및 거래 방식
2) 비디오게임의 네트워크 접속 이용 비율
3) 아이템 현금 거래에 대한 견해
4) 온라인게임 결제 방식
5) 게임 아이템의 현금 거래 경험
본문내용
1) HTML5 기술 현황 및 발전 전망
비록 HTML5의 표준이 최종 확정된 상황은 아니지만 해외 주요 업계에서는 HTML5의 발전 가능성에 큰 관심을 갖고 중대한 방향 설정을 하였다.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아도비 모두 미래 기술로서 HTML5에 투자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구글은 크롬 브라우저에서 HTML5을 본격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하였고 웹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인 크롬 웹 스토어를 열었다. 애플의 경우도 아이폰의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HTML5를 탑재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인터넷 익스프로러 9에서 부분적으로 HTML5를 지원하기 시작하였으며 2012년 하반기에 윈도 8/인터넷 익스플로러 10의 출시와 함께 본격적으로 HTML5를 지원할 예정이다. 페이스북 또한 HTML5를 미래 웹 기술로 선언하고 역량을 집중하는 상황이다. 아도비조차도 기존의 플래시라는 플러그인 환경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고 역량을 HTML5에 집중하는 상황이다. 특히, 기존의 아도비 프로페셔널 등의 플래시 기반의 콘텐츠 제작 환경을 HTML5 기반의 콘텐츠 제작환경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아직까지 HTML5 스펙이 완성되지 않았다는 측면과 브라우저가 모든 스펙을 다 구현하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일부 지원(“△”)으로 표시하였다. 웹GL의 경우 기능이 내장되어 있더라도 사용자가 추가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직접 설정을 해야 하는 경우 등은 부분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직접 TCP 기반으로 통신할 수 있는 별도 표준인 웹소켓의 경우에도 대부분 준수하는 경우에만 지원(“O”)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브라우저마다 HTML5에 대한 호환성에 차이가 나는데, 2012년에 들어서 호환성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서 표준이 완성되는 2014년까지는 대부분의 브라우저들이 충분한 호환성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