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폐렴case study, Pneumonia, 폐렴케이스, 폐렴간호과정, 폐렴간호진단,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실습, 성인간호학, 폐렴간호과정, 폐렴
- 최초 등록일
- 2019.03.19
- 최종 저작일
- 2017.12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A+ 받은 자료입니다.
폐렴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이며, 각 진단별로 중재 5~6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론적 근거까지 꼼꼼하게 작성했으니 많은 도움 되실거에요 ^_^
목차
1.서론
2.문헌고찰
3.간호과정
본문내용
폐렴(pneumonia)은 100명 중 2~4명의 아동에게 발생하는 폐에 생기는 염증을 의미한다. 아동기에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항생제의 발달로 치료가 가능해졌음에도 불구하고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 소아기의 이환율과 사망률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폐렴이 늦겨울이나 초가을에 자주 발생하는 만큼 병동의 많은 폐렴 환자들 중 다른 질병이 없는 2세 남아를 case study 환자로 선정하여 폐렴이 소아에게 미치는 영향과 질병의 원인,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맞는 적절한 치료와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본 사례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2.문헌고찰
폐(Lung)의 구조
폐는 흉곽 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가볍고 스펀지 모양의 탄력성 있는 원추형 기관이다. 폐 아래에 있는 횡경막은 복강과 흉곽을 분리하며, 늑간근과 함께 중요한 호흡근의 역할을 한다. 폐는 수억 개의 폐포와 폐포관, 세기관지, 주기관지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 폐는 3엽, 좌측 폐는 2엽으로 나누어진다.
폐(Lung)의 기능
폐는 공기 중에서 산소를 혈액으로 받아들이고, 혈액 속의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공기 중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폐에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작은 혈관들이 폐포를 둘러싸고 있다. 기관지에서 공기의 흐름이 좋지 않거나 폐포에서 가스 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호흡곤란을 느끼게 되고 심하면 생명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폐렴(Pneumonias)
폐간질과 폐포 내에 현저한 삼출액 증가가 있는 폐 실질조직의 염증상태
가장 흔한 것은 세균성폐렴(bacterial pneumonia), 바이러스성 폐렴(viral pneumonia)이다.
폐렴은 직접 걸릴 수도 있고,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폐렴은 아동기에 빈번하며, 특히 영아와 아주 어린아동에게서 자주 나타난다.
원인
병인은 직접 폐로 흡입하거나 혈류를 통해 들어온다. 유아의 경우 RSV, 파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메타 pneumovirus, S. pneumoniaet, H. influenaze, M. pneumoniae, Mycobacterium tuberculosis가 원인균이다.
참고 자료
김영혜 외 공저(2014).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김영혜 외 공저(2014).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홍영혜 외 공저(2015). 비판적 사고기반 간호과정 적용. 수문사.
김정애 외 공저(2013).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