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학 CASE STUDY QI (낙상) 자료 입니다. (A+자료)
- 최초 등록일
- 2019.03.12
- 최종 저작일
- 2018.01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간호관리학 CASE STUDY QI (낙상) 자료 입니다. 해피캠퍼스에서 자료 참고하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직접 타이핑한 케이스 스터디라서 믿고 보실 수 있습니다. : ) 마지막에 결론부분은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 많이 담신 부분이라 도움이 생략했습니다. 그래서 Ⅲ결론을 Ⅲ참고문헌으로 수정했습니다.ㅠㅠ 교수님께도 A+ 받았던 케이스 입니다. : )
목차
Ⅰ. 서론
1) 주제선정동기
2) 문헌고찰
Ⅱ. 본론
1) 병원 낙상관리지침 조사
2) FOCUS PDCA를 활용한 질 향상 활동방법 적용(OO병원 질 관리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주제선정동기
지난 1년간 임상실습을 경험하면서 어느 병원에서든지 낙상의 중요성은 매번 강조되어져 왔다. 심지어 간호진단에도 낙상과 관련된 진단들이 존재하며, 실제로 간호사선생님들께서 환자에게 ‘낙상의 위험성‘ 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리는 모습도 비일비재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그래서 학생인 나에게도 낙상에 대한 인지는 중요하게 생각되어져 왔다. 그렇게 0000년 00월 00일 첫 간호관리 임상실습을 나오고 수간호사 선생님께 오리엔테이션 교육을 받았다. 포괄적으로 병동의 구조, 병동의 특성, 주 질환 혹은 주요 과에 대한 설명을 듣고 세부적으로 환자 안전관리, 간호전달체계, 물품관리대장 등의 교육을 받았다. 오리엔테이션 교육을 마친 후 수간호사선생님께선 관리자의 입장으로 병동 라운딩을 돌아보라는 말씀을 하셨고, 나는 병동 라운딩을 돌면서 몇 가지 의문점을 발견했다. 예를 들자면 side rail이 내려간 상태에서 낮잠을 주무시고 계시는 할아버지, 침대에서 누운 채 냉장고에서 물을 꺼내는 행동, 거동이 불편한 환자분께서 보호자 없이 보조기구를 기둥삼아 복도를 서성이고 계시는 모습, 슬리퍼를 착용한 채 폴대를 지지하며 복도를 산책하는 등의 낙상을 유발을 증가시키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이번 낙상 질 관리 보고서를 통하여 병동에서 실시되는 낙상과 관련된 질 관리를 찾아 공부하고 실제 기대대는 효과를 파악하며, 결론적으로 환자들에게 낙상에 대한 실천행위를 개선하고자 ☆☆☆병동의 낙상관리지침 실천율을 주제로 선정하였다.
2) 문헌고찰
■ 낙상이란?
: 낙상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으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추락과 걸려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넘어지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노인에서 발생률이 높으며, 노인 인구 비율이 늘고 의료기술이 발전하여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인 낙상의 발생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참고 자료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 낙상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880
간호관리학 (수문사) 염영희 외 공저 11명 – PDCA
관리과정과 간호적용(통제기능과 간호적용) / 617p~618p
사진자료(OO병원 낙상관리지침자료)
낙상고위험 대상자 분류법 (Morse Fall Scale)
대상자별 낙상 고위험군 분류법
남, 여 화장실에과 병실 내 세면대에 부착되어있는 낙상예방 포스터 및 낙상주의 표시판
낙상예방을 위한 교육방법
팀별 낙상 제로 활동표
입원시 측정하는 키·몸무게 측정 도구에 부착되어있는 표시판
OO병원 블로그에서 낙상 예방교육용 동영상
(https://blog.naver.com/inhamedical/220569780812)
OO병원 OO병동 환자안전관리 PDCA적용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