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에 대해서
- 최초 등록일
- 2019.03.12
- 최종 저작일
- 2019.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과목명:
주제: 자본주의에 대해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본주의의 개념
2. 자본주의의 성립
3. 자본주의의 발전
4. 우리나라의 자본주의
5. 오늘날 자본주의의 문제점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오늘을 살고 있는 젊은 세대는 자본주의 시대에 태어나 자연스럽게 자본주의를 받아들이고, 그것에 적응해 살아가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학교 교육을 통해 자본주의를 신분제가 가진 문제를 극복한 가장 이상적인 체제라고 배워 왔다.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우리는 공정한 경쟁을 통해 자본 획득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정말 지금까지 자본주의 체제가 가장 이상적인 것이라 믿으며 살아 왔다. 그런데 어쩐지 요즘 우리 사회와 세계 각국의 움직임을 보면 이상적이라고만 믿고 있었던 자본주의 체제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어쩌면 우리가 자본주의 체제를 이상적인 것으로 생각하도록 강요받아 왔던 것은 아닐까 하는 의문마저 드는 것이다. 이러한 나의 의문과 관련해 하나의 기사를 접할 수 있었다.
2018년 5월 1일 노동절을 맞아 독일, 스페인, 프랑스 등 유럽국과 러시아, 터키, 필리핀, 스리랑카, 미국 등 세계 각국에서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 시위에 참가한 사람들은 자본주의를 반대한다는 문구가 적힌 푯말을 들고, 과거 어느 때보다 부유한 사람들이 넘쳐나고 있지만 노동자들을 위한 여건은 계속 악화되고 있다면서 이제 나라의 부를 재분배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했다.
자본주의가 생산 활동을 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이상적인 체제라면 어째서 세계 각국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생각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자본주의란 무엇이며 자본주의는 어떻게 발전해 왔고 성립되었는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오늘날 우리 사회가 보여주는 자본주의의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Ⅱ. 본론
1. 자본주의의 개념
자본주의에 대한 정의를 어떻게 내릴 수 있을까. 이와 관련해 좀바르트 베버는 자본주의를 하나의 태도 혹은 정신으로 이해하여 관념론적인 측면에서 파악하고 있으며, 마르크스는 자본주의를 역사의 발전 가운데 특수한 하나의 생산 양식의 측면에서 파악하고 있다.
참고 자료
K. Marx, 김호균 역, 《정치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중원문화, 1988.
P. A. Baran, , 김윤자 역, 《성장의 정치 경제학》, 두레, 1984.
허창수, 《자본주의의 도덕성과 비도덕성》, 분도출판사, 1996.
이경제(2003), 「자본주의의 구조적 폭력성」, 『인문과학』제85집,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조기준, 《신경제사》, 일신사, 1977.
뉴시스(2018.05.02)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502_0000297307&cID=10101&pID=10100
조선일보(2018.05.29)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28/2018052802312.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