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관련된 보건사업, 복지 서비스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19.03.10
- 최종 저작일
- 2019.03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Ⅱ. 5절. 노인보건사업
1. 노인 인구의 특성
2. 노인의 보건의료 요구
3.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4. 우리나라 노인보건복지사업
5. 우리나라 노인보건, 복지서비스 종류
Ⅲ. 영국 노인보건사업 정책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근 100년에 걸쳐 노령화가 진행된 것과는 달리, 우리사회는 불과 20년 정도의 짧은 기간에 급속한 노령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2017년에는 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
이는 심각한 노인문제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국가의 획기적인 노인복지정책이 제시 되지 않는 한 해결 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본 과제는 우선 현재 우리나라의 노령특성과 주요 노인보건사업을 고찰해 보았다. 이 후 이미 고령화 사회를 경험하고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효율적인 고령화정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는 영국의 노인복지정책 검토함으로서, 고령 사회를 대비하는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정책 방향을 연구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Ⅱ. 5절. 노인보건사업
1. 노인 인구의 특성
1) 노인 인구의 변화
(1) 연령별 노인 인구
2015년 총 인구에서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13.1%로 나타나 고령화 사회(7%~)에 진입하였으며 2017년에는 14%를 넘어 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초고령 사회는 20% 이상). 고령화 속도에 있어서 노인의 인구 비율이 7%에서 14%로 증가되는 기간이 우리나라는 18년 걸릴 것이라고 예상 했었는데 이는 미국의 72년, 영국의 46년 등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빠르다.
(2) 성별 노인 인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성비는 1980년대 59%였으나 2015년 71.7%로 높아졌다. 이는 의료기술의 발달과 건강에 대한 관심증가로 남자 노인의 사망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65세~74세 노인 성비 81%, 75~84세 노인 성비 56%, 85세 이상 34%로 연령은 증가함에 따라 성비가 감소하고 있다.
* 성비 = (65세 이상 남자인구 / 65세 이상 여자인구) X 100
(3)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노인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감소하고 있어 노년부양비는 2015년 17.9로 계속 증가세이다. 1739는 생산가능인구 5.6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자료
<표1> 대한민국정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고령사회 분양 보완판, 5p, ‘주요국가의 인구고령화 속도 인용’
<표2> 기초노령연금 홈페이지, 세계의 연금제도
장분성, “노인보건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ged health policy)”, 학위논문(석사)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 행정학과 2013. 8, 33 - 41p
안영재,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의 발전방안에 대한 비교연구 : 영국·미국·일본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the Measures to Develop the Welfare Policy of Korea for the Aged : Focusing on UK, USA and Japan)”, 학위논문(석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09. 8, 62-71p
최연희, 이지현 외,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2』, 수문사(2016), 761-80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