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법을 이용한 아세트산 흡착량 계산] 결과레포트 / 화공 기초 이론 및 실험
- 최초 등록일
- 2019.03.08
- 최종 저작일
- 2018.04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Abstract
2. Experiment
3. Result & Discussion
4. Conclusion
5. Reference
본문내용
1. Abstract
활성탄을 이용해 아세트산을 흡착시키고, 적정하여 얼마큼의 아세트산이 흡착되었는지를 계산한다. 이를 이용해 흡착 등온선과 최대 흡착량을 계산하는 실험이다.
2. Experiment
6개의 플라스크에 아세트산 비율을 다르게 하여 활성탄과 섞고 밀봉 뒤 1시간가량 혼합해주었다.
<중 략>
그 후 여과하여 1N NaOH를 이용해 적정시켜 남아있는 아세트산의 농도를 계산한다.
여기서 1N(노르말 농도)란 몰농도에 당량수를 곱한 값을 의미하는데, NaOH의 경우 당량수 1을 가지므로 1N을 1M로 계산하였다. 그 후 Freundlich, Langmuir, Temkin 방정식에 대입해 흡착등온선을 그리고 어떤 흡착 등온식을 따르는지 확인한다.
우리 조의 경우 흡착 전, 아세트산 100%를 이용해 적정을 시행하여 초기 아세트산의 농도를 확인해 보았다.
3. Result & Discussion
초기 아세트산의 농도를 MV=M’V’를 이용해 계산하고, 적정에 사용된 시료들의 부피를 정리해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중 략>
우리 조의 경우 4번, 5번, 6번 용액의 양을 달리하여 적정을 시행했고, 각각 30ml로 맞추어 계산하였다. 아세트산과 NaOH는 1:1로 반응하여 중화된다. 따라서 각 용액의 아세트산 몰수와 적정에 사용된 NaOH의 몰수를 계산하고, 흡착된 아세트산용액의 몰수를 구하였다. 적정에 사용된 NaOH의 몰수는 곧 흡착하지 않고 남은 아세트산의 몰수와 같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이 구하면 흡착된 아세트산의 몰수를 구할 수 있다.
<중 략>
4. Conclusion
이번 실험에서는 아세트산과 활성탄을 이용해 세 가지(Langmuir, Freundlich, Temkin) 흡착등온식에 대입하고 흡착등온선을 구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해 최대흡착량, 흡착속도 상수 등을 대략적으로 구해볼 수 있었다. 6번 플라스크를 제외하고 1-5번까지의 용액에서는 꽤 정확한 값의 흡착등온선을 구했다고 생각된다.
참고 자료
2018 1학기 실험노트
예비레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