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협심증 문헌고찰, 간호과정 (진단 2개)
- 최초 등록일
- 2019.03.03
- 최종 저작일
- 2018.10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협심증 케이스입니다.
문헌고찰 , 간호과정 각각 깔끔하게 정리 되어있고
간호 진단은 2개 입니다.
컨퍼 때 정리 잘 했다고 칭찬 받았고 A+ 받았습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분류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합병증
3. 대상자 사례
1) 사례
2) 진단검사 결과
3) 약물
4. 간호과정
1) 간호문제
2)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선정
3) 사정 / 목표 / 계획 / 수행 / 평가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 몸의 대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혈액순환이 중요한데, 혈액순환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심장이다. 이런 심장 근육이 작업을 잘할 수 있게 혈액을 공급해 주는 혈관이 관상동맥이다. 관상동맥 질환을 포함한 혈관질환이 돌연사의 80%를 차지하는 지금에 이르러 관상동맥 질환은 사회적으로 지속적인 관심을 두고 적극적인 예방과 치료를 해야 하는 중대한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인구의 노령화, 스트레스, 운동부족, 식생활의 변화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본 과제에서는 점점 증대되는 사회적인 관심에 발맞춰 관상동맥 질환 중 협심증의 정의 , 원인, 증상, 진단 방법, 치료와 그에 맞는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문헌고찰
1. 정의
심장 표면에는 여러 혈관들이 있어 끊임없이 운동하는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데, 이 혈관을 관상 동맥이라고 한다. 이 관상 동맥의 어느 부위가 좁아져서 심장이 필요로 하는 혈액을 공급하는데 지장이 오면 앞가슴 한복판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협심증이라고 한다.
2. 원인
1) 심근의 산소 공급 감소
① 관상동맥 장애
- 죽상경화증 : 혈류에 대한 저항 증대
- 관상동맥 경련 : 혈류에 대한 저항 증대
- 관상 동맥염
참고 자료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김지현(2018), 「돌연사를 불러오는 무서운 ‘심장질환’...협심증과 심근경색」, 매일일보
김진원·박창규(2008),고려대 심혈관센터, 「협십증 환자의 진단과 치료」
서울 아산병원_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79
성인간호학 임상실습지침서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_건강/질환정보
http://sev.iseverance.com/heart/health_info/education/normal/view.asp?con_no=7107&page=&SearchField=&SearchWord=
온라인 의약 도서관
http://drug.mfds.go.kr/html/CLASS/customer/qna_detail.jsp?BOARDNAME=BOARD100&BOARDID=221&SEQNO1=51&pg=1
원종순 외(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유대형(2017), 「심근경색 못지않게 위험한 ‘협심증’ A to Z」, 헬스경향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csidx748b7add6a7f85880ed63b80004e354
조경숙 외(2016),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홍그루(2012), 연세대 의과대학, 「안정형 협심증」